모바일보기

경북 칠곡 제조업체 노동자 1명 숨져...대구경북, 넉달간 20명 '산재사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칠곡군 왜관읍 금속 제조업체
40대 A씨 코일 옮기던 중 사망
노동청, 사고 당일 '작업중지'
중대재해·산업안전보건법 수사
올해 대구 4명·경북 16명 숨져
지난해 1년간 53명 산재로 희생
4개월 만에 전년 3분의 1 수준
노동계 "원인 분석...처벌 강화"

경북 칠곡군 한 제조업체에서 노동자 1명이 일을 하던 중 숨졌다.

대구지방고용노동청과 경북소방본부에 15일 확인한 결과, 지난 14일 오후 4시 51분경 경북 칠곡군 왜관읍 낙산리 한 금속 제조업체에서 40대 남성 노동자 A씨가 크레인으로 옮기던 코일을 옮기던 중 20톤(t) 강판에 끼여 숨지는 사망 사고가 발생했다.

대전 한 건설현장에서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 사진 출처.고용노동부
대전 한 건설현장에서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 사진 출처.고용노동부

신고를 받고 출동한 119 구조대는 전문소생술을 실시했고, A씨는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옮겨졌으나 끝내 숨졌다.

대구노동청은 산재가 발생한 공장에 작업중지 명령을 내렸고, 중대재해처벌법·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여부를 수사 중이라고 설명했다.

대구노동청 광역중대재해수사과 관계자는 "사고 당일 공장에 작업중지 명령을 내렸다"면서 "5인 이상 사업장이기 때문에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여부를 조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다만 "수사 과정에서 상세 내용이나 법 적용 여부는 달라질 수도 있다"며 "노동청에서 사건 개요를 파악하려 현장에 찾아간 상태"라고 덧붙였다.

대구경북지역의 올해 산재 사망 사고도 계속해서 늘고 있다. 

대구노동청에 15일 확인한 결과, 이날 기준 올해 대구경북 산재 사망자는 모두 20명으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대구 4명, 경북 16명이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 8명, 건설업 6명, 기타 업종 6명이다.

2023년, 2024년 광역단체별 산업재해 사망자 수와 사망사고 건수 / 자료.고용노동부
2023년, 2024년 광역단체별 산업재해 사망자 수와 사망사고 건수 / 자료.고용노동부

이는 지난해 대구경북지역 전체 산재 사망자 수 53명(대구 14명, 경북 39명)의 37.7%에 이른다. 지난해 같은 기간 12명(제조업 3명, 건설업 7명, 기타 업종 2명)과 비교했을 때 66.6% 늘었다. 

대구지역 노동계는 산재 사망 사고 원인 분석과 함께, 사주 등 책임자를 좀 더 강하게 처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정아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 사무처장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산재 사망자가 증가한 점에 대해서는 노동청이 원인 분석 등을 공식적으로 한 뒤 예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노동청에서 진행하는 안전 점검 등에 대한 효용성이 있는지는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대재해처벌법이나 산업안전보건법이 시행되고는 있지만, 노동자 산재 관련 사주 처벌이나 후속 조치 등이 잘 안 이뤄지다 보니 현장에서도 안전 조치와 같은 것들이 잘 지켜져야 한다는 의식이 완전히 자리잡지는 않는 것 같다"며 "산업안전과 관련해 사업주들이 형식적 교육이나 재정 투입이 아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