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10월항쟁 79년, 지역 시민단체들이 이재명 대통령을 향해 항쟁의 진실을 규명하고 희생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 제정과 국가기념일 지정을 촉구했다.
'10월항쟁 진실규명과 명예회복·정신계승을 위한 시민연대', '시월항쟁예술제 추진위원회'는 30일 오후 10월항쟁 발상지인 대구역 앞 광장에서 '10월항쟁 79주년 진실규명·정신계승 대구경북시도민대회'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 채영희 (사)10월항쟁유족회 이사장과 임성종 10월항쟁시민연대 상임대표, 최수환 시월항쟁예술제 추진위원장, 김찬수 4.9인혁열사계승사업회 이사장, 윤금순 대구경북자주통일평화연대 상임대표, 정금교 (사)전태일의 친구들 이사장, 이길우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장 등 지역 시민사회단체, 노동계, 진보정당 인사를 포함해 시민 140여명이 참석했다.
행사장 주위에는 10월항쟁을 기억하기 위한 시 9편이 걸렸다. 제목은 '가창댐, 그 아래 구절초', '유족의 나라 4' 등이었다. 연좌제로 탄압받은 유족의 고통과 여전히 찾지 못한 희생자들의 유해를 소재로 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시민들은 "10월항쟁 정신계승", "민주주의 회복하자", "자주평화 앞당기자" 등의 구호를 외쳤다. 또 깊은 물을 표현한 파란색 물감을 하얀 천에 색칠한 작품을 손으로 닦아 유골 그림이 나오게 하며 희생자들의 뼈가 한 점이라도 나오기를 소망했다.
시민연대는 이재명 정부를 향해 10월항쟁 특별법 제정과 국가기념일 지정을 촉구했다.
임성종 10월항쟁시민연대 상임대표는 "아직 10월항쟁의 진실은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고, 희생자와 유가족의 명예는 온전히 회복되지 못했다"며 "이재명 정부는 10월항쟁의 실체적 진실을 규명할 특별법을 제정하고,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피학살자를 추념할 수 있는 국가기념일을 제정해 온전한 진실규명과 명예회복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시민연대는 내년 80주기를 맞아 '10월항쟁 정신계승 80주년 행사위원회' 출범을 제안했다. 10월항쟁이 대구를 넘어 모든 국민이 10월항쟁을 배우고 느낄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다. 올해 연말이나 내년 초까지 의견 수렴 과정을 거치고 행사위를 꾸려 사업 계획 등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들은 제안문에서 "지역과 세대, 계급과 계층이 힘을 합쳐 10월항쟁 80주년을 역사적 전환점으로 만들어가고자 한다"며 "추모와 기념은 물론, 항쟁의 완전한 명예회복을 이뤄내고 법제화를 실현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10월항쟁을 기억하고 계승하는 개인과 단체가 힘을 합쳐 구성하고 전국적이고 범시민적인 사업을 벌여 나가겠다"면서 "대구경북의 정체성과 정신을 되찾아가는 초석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함께 손을 맞잡아 달라"고 호소했다.
채영희 (사)10월항쟁유족회 이사장은 "그 옛날 유족들을 보고 빨갱이라고 하면서 누구도 우리의 말을 들어주지 않았는데, 피눈물 나는 세월을 겪고 여기까지 왔다"면서 "누구와도 타협하지 않은 결과 10월항쟁 조례안 통과와 위령탑 건립, 항쟁 발상지 표지판까지 왔다. 국가가 학살을 인정했고, 도와준 시민들도 많아 감사하다"고 말했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에 따르면, 1946년 10월 1일 대구시민들은 미군정 친일관리 고용, 식량 공출 시행을 비판하며 "쌀을 달라"고 항쟁했다. 미군정과 경찰은 계엄령을 선포해 무력으로 진압했다. 이후 10월항쟁 가담자와 보도연맹원, 대구형무소 수감자는 한국전쟁 전후 경산 코발트광산·가창골·칠곡 신동재 등지에서 집단 사살됐다. 진화위는 2009년 10월 항쟁이 국가폭력에 의한 희생이었다는 진상규명 결과를 발표해 국가 사과와 위령사업 지원을 권고했다.
(사)10월항쟁유족회는 오는 10월 1일 오전 달성군 가창면 용계체육공원(가창면 용계리 128번지) 내 10월항쟁·한국전쟁전후민간인희생자 위령탑에서 '10월항쟁 79주기,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희생자 75주기 합동위령제'를 연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