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간 사드 철회를 외쳐온 소성리 주민들의 농성장이 사흘 뒤면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경북 성주군이 오는 28일까지 농성장을 철거하라며 행정대집행을 예고한 탓이다.
주민들과 시민단체들은 "비폭력 평화적 투쟁에 대한 폭거"라며 반발했다.
특히 이재명 정부를 향해 "민주주의 가치를 훼손하는 무책임한 태도로 방관해선 안된다"고 촉구했다.
성주군에 18일 확인한 결과, '사드 배치 반대 6개 단체'가 초전면 소성리 진밭교 일대에 지난 2017년 설치한 "사드 철회 촉구" 천막농성장을 철거하라는 내용의 행정대집행 계고서를 지난 14일 보낸다.
행정대집행 영장에서 성주군은 "귀하의 소유물은 불법 인공구조물"이라며 "지난 2024년 12월 6일까지 철거하라고 계고서를 보냈으나 이행하지 않아 부득이하게 대집행을 통보한다"고 밝혔다. 또 "국·공유지에 무단으로 설치한 불법시설물에 대해 자진 철거하도록 계고서를 송달했음에도 기한까지 이행하지 않아 대집행을 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성주군 관계자는 "불법 농성장을 철거하라는 감사원 지적을 받아 치울 수 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철거를 지시한 시설물은 천막농성장과 컨테이너 각 1동, 원불교 예배당과 임시 목조 창고 등이다. 성주군이 강제 철거를 예고한 대집행 일시는 오는 11월 20일부터 28일까지다. 날짜는 특정하지 않았다.
사드 철회 농성장은 지난 2017년 3월 설치됐다. 주한 미군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반대하며 소성리 마을회관 앞 농성장을 중심으로 3,175일째 집회와 기도회 등을 이어왔다. 박근혜, 문재인, 윤석열에 이어 이재명까지 4개 정부를 거치며 한목소리로 "사드 철회"를 요구했다. 주민 동의 없는 일방적인 배치와 순식간에 주한 미군 기지가 된 절차의 문제를 지적하며 철거를 요구했다.
정치권의 외면은 물론 사드 추가 배치에 소송에서도 계속 져 목소리를 낼 곳은 농성장이 유일했다. 하지만 새 정부가 들어선지 5개월여만에 사드 철거는커녕 아지트인 농성장을 없앤다고 해 반발이 거세다. 이들은 오는 21일 오전 7시부터 농성장과 기도당 강제철거 저지를 위한 '긴급평화행동'에 나선다.
사드철회 성주대책위원회와 사드배치반대 김천시민대책위원회, 원불교성주성지수호비상대책위원회 등 6개 단체가 모인 '사드철회평화회의'는 17일 성명을 내고 "비폭력 투쟁으로써 국가가 외면한 평화를 지켜온 신앙과 시민의 상징인 농성장을 강제 철거하는 것은 국가의 폭거"라고 규탄했다.
평화회의는 "사드는 국민 누구의 동의도 받지 못한 채 민심을 배신하고 국민 등에 비수를 꽂은 결정"이라며 "윤석열 정부에 이어 이재명 정부가 국가 폭력 역사를 반복하는 것이 믿기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 "행정대집행의 대상인 진밭평화교당 등은 단순 시설이 아니라 평화를 염원하는 마음을 모아 세운 공간"이라며 "국가 폭력으로 평화를 짓밟는 행정대집행은 즉각중단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강현욱 소성리상황실장은 "성주군청의 이 같은 결정은 단독으로 이뤄지지 않았을 것"이라며 "이재명 정부의 방관은 사실상 동조이자 침묵은 폭력에 대한 승인"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정부는 사드 배치 과정에서의 국가 폭력에 대한 입장을 내고, 집행을 중단시키는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