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사드반대' 현수막, 주한미군이 훼손...소성리 "재물손괴, 사과·복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 사드 예스 피스' 영문 현수막 
30여장...피해 금액 1백만원 상당
기지 밖 마을, 신원불명 미군 파손
주민 신고, 경찰 CCTV 확보 수사 
대책위, 주한미군에 의견서 전달
"명백한 범죄, 철저한 수사·처벌"

신원불명의 주한미군 A씨가 경북 성주군 소성리 사드 기지 밖 마을로 내려와 차량을 타고 현수막을 철거하는 모습이 CCTV에 담겼다.(2025.4.28) / 사진.소성리종합상황실 
신원불명의 주한미군 A씨가 경북 성주군 소성리 사드 기지 밖 마을로 내려와 차량을 타고 현수막을 철거하는 모습이 CCTV에 담겼다.(2025.4.28) / 사진.소성리종합상황실 
"사드도, 핵무기도 없는 평화로운 한반도를 만들자" 경북 성주군 소성리 주한미군의 사드 기지 인근 진밭교 일대에 주민들과 시민단체가 건 '사드 반대' 촉구 현수막들(2025.5.9) / 사진.소성리종합상황실
"사드도, 핵무기도 없는 평화로운 한반도를 만들자" 경북 성주군 소성리 주한미군의 사드 기지 인근 진밭교 일대에 주민들과 시민단체가 건 '사드 반대' 촉구 현수막들(2025.5.9) / 사진.소성리종합상황실

경북 성주 소성리 사드 기지 인근 '사드 반대' 현수막 수십장을 주한미군이 훼손해 논란이다. 

주민들과 시민단체들이 게시한 30여장의 영문 현수막을 미군이 마구잡이로 찢고, 가져간 것이다.

성주경찰서와 소성리종합상황실의 말을 15일 종합한 결과, 앞서 4월 26일 '제18차 소성리범국민평화행동'에 참가한 시민단체와 평화지킴이를 포함한 소성리 주민들은 주한미군의 사드 군사 기지 인근인 진밭교 일대에 '사드 반대'를 촉구하는 현수막 수십장을 설치했다. 

이 가운데 'NO THAAD, YES PEACE(노 사드 예스 피스.사드 말고 평화 오라)' 등 사드 배치 반대, 미군기지에 대한 항의, 평화를 요구하는 내용의 현수막들이 지난 4월 28일부터 30일까지 사흘간 찢어지거나, 사라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주민들이 성주경찰서에 신고를 했고 경찰은 수사에 나섰다. 그 결과, 경찰은 신원불명의 주한미군으로 추정되는 한 남성이 차량을 타고 사드 기지 밖 마을에 내려와 현수막을 파손하는 CCTV를 확보했다.  

소성리종합상황실에 확인한 결과, 최근 이처럼 훼손되고 사라진 '사드 반대' 현수막은 30여장이다. 피해 금액만 100여만 상당에 이른다. 경찰은 이와 관련해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소성리 사드반대 현수막 훼손, 절취한 미군범죄 처벌하라"사드철회평화회의가 기자회견을 열고 주한미군  측에 의견서 전달을 하러 가고 있다.(2025.5.15) / 사진.소성리종합상황실
"소성리 사드반대 현수막 훼손, 절취한 미군범죄 처벌하라"사드철회평화회의가 기자회견을 열고 주한미군  측에 의견서 전달을 하러 가고 있다.(2025.5.15) / 사진.소성리종합상황실

사드철회평화회의(사드철회성주대책위원회, 사드배치반대김천시민대책위원회 등 6개 단체)는 15일 왜관 캠프캐롤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수막을 고의로 훼손하고 철거한 것은 재물손괴죄에 해당하는 명백한 범죄"라며 "미군 병사의 이 같은 불법행위가 과연 동맹국 국민을 존중하는 태도냐"고 규탄했다. 

평화회의는 ▲"경찰은 성역 없이 철저하게 수사하고, ▲현수막을 훼손한 자를 엄정 처벌하라"고 촉구했다. 주한미군을 향해서는 ▲"파손한 현수막 원상 복구"를 포함해 ▲"사령관의 책임있는 사과"와 ▲"사드 기지 인근에서의 범죄 재발을 막기 위한 대책 마련" 요구했다. 

이들은 이 같은 입장을 담은 의견서를 주한미군 측에 이날 전달했다. 

강현욱 소성리종합상황실장은 15일 평화뉴스와 통화에서 "지난 10여년간 불법 사드 배치 과정에서 역대 3개 정부는 자국민을 대상으로 수많은 국가 폭력을 자행했다"며 "이제는 주한미군까지 자신들의 행위에 반대한다는 이유로 한국 국민들이 단 현수막을 강제로 철거한 것은 심각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주한미국의 범죄는 지난 2023년 600여건에서 매년 증가하는 추세"라며 "현수막을 파손한 것은 한국 국민들의 표현의 자유는 물론 집회 및 시위의 자유, 재산권을 명백히 침해한 행위다. 외국군의 이 같은 행위에 대해 불안과 분노를 감추지 못한다. 철저히 수사해 같은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