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급식실 노동자들이 폐암에 확진되거나 의심 판정을 받는 사례가 발생하자, 대구지역 공공기관 내 구내식당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을 대상으로도 폐질환 실태조사를 해야 한다는 요구가 나왔다.
민주노총대구지역본부(본부장 이길우)는 4일 대구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구시와 대구노동청은 지역의 공공부문 급식실 노동자들 폐암 등 폐질환 문제를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노조는 "2022년부터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이 진행한 학교 급식실종사자 폐CT 검사에서 32.4%(4만2,077명 가운데 1만3,653명)의 급식노동자들에게서 '이상 소견(폐질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대구지역은 2,019명 가운데 790명 이 '이상 소견'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대구의 경우 12명은 '폐암 의심', '폐암 매우 의심'은 1명으로 나타났다. 경북은 '폐암 확진' 3명이다. 대구경북지역 학교급식실 노동자 가운데 16명이 폐암 확진 또는 폐암 의심 판정을 받은 셈이다.
볶고, 튀기고, 삶고, 굽고. 환기가 잘 되지 않는 좁은 장소에서 요리를 하는 도중 발생하는 '조리 흄(Cooking Fum)'이 대량으로 음식을 만드는 노동자들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진 것이다.
학교급식실 뿐 아니라 공공기관 내 있는 모든 구내식당도 조리흄 노출 위험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요리하는 모든 구내식당, 급식실 노동자들이 폐질환 위험에 직면해있다는 주장이다.
때문에 노조는 정부와 지자체 산하 모든 공공부문 내 구내식당에서 일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폐질환 실태조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민간부문으로 조사 영역을 확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대구지역의 전체 공공기관은 모두 81곳이다. 이 가운데 민주노총 질의에 답변한 기관은 51곳이다. ▲공공기관은 경북대병원, 국립대구과학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한국가스공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부동산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사학진흥재단,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등 11곳 ▲지방자치단체는 대구시를 포함해 8개 구.군 등 9곳 ▲지방공기업은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대구교통공사, 대구도시개발공사 등 3곳 ▲지자체 출자·출연기관은 대구의료원과 대구테크노파크 등 2곳 ▲중앙행정기관은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정부청사관리본부), 소방서 모두 8곳, 대구경찰청과 10개서, 대구지방검찰청(본청과 서부청), 중앙교육연수, 중앙신체검사소, 대구박물관 등이 있다.
지역 공공부문 급식실·식당 종사자(영양사, 조리사, 조리원)는 지자체 60명, 공공기관 114명, 중앙행정기관 68명, 공기업 출자·출연기관 56명 등 298명이다. 노조는 대구교육청 급식실 폐질환 조사 기준 '유병률 38%'를 적용한 결과 "공공부문 구내식당 종사자 폐질환 발생은 49명"이라고 예상했다.
정은정 민주노총대구지역본부 부본부장은 "급식실 노동자 폐질환이 실제로 밝혀졌다"며 "공공부문 구내식당도 선제적으로 실태조사하고 이어 민간, 영세사업장으로 조사를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대구시는 학교급식실 종사자들의 폐암, 폐암 의심 사례와 관련해 노동청이 조사를 하고 있는만큼, 산업재해 연관성이 입증될 경우 추후 공공기관 내 구내식당에 대한 건강검진도 고려하고 있다.
김응영 대구시 일자리노동정책과 담당자는 "노동청이 학교급식 종사자 폐질환 사례를 조사하고 있다"며 "최종적으로 산재 연관성이 입증될 시 대구시와 8개 구.군청의 구내식당에 대한 특수건강검진 적용도 검토해볼 수 있다"고 답했다. 다만 "학교급식실은 급식 인원이 많지만, 공공부문 구내식당들은 그렇게 급식 인원이 많지 않아 환경이 다른 부분도 있다"면서 "게다가 공공에서 조사를 할 경우 민간 식당도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아직은 섣불리 조사를 할 수 없다. 결과를 지켜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