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원전 설계전문가 이종윤(63) '원자력 안전과 미래' 대표가 5일 대구시의회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자신들 규정도 안지킨 IAEA 보고서는 엉터리"라며 "국제적 기준에 부합한다고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지난 4일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제1원전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에 대해 '국제 안전기준에 부합한다'는 결론을 담은 보고서를 공개했다. 일본 정부는 빠르면 7월 안으로 해양 방류를 검토하고 있다. 국내 어민들과 야당, 시민사회는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국내 원자력전문가로 30년간 활동한 이 대표도 이날 토론에서 IAEA를 강하게 비판했다. 이 대표는 "일본에 불리한 내용은 모두 빠진 보고서"라며 "객관적인 기준으로 재검증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대구지역사회 대안을 모색하는 모임 '토요마당'과 대구경북전문직단체협의회, 더불어민주당 소속 육정미(비례대표) 대구시의원, 대구환경운동연합, 대구참여연대, 대구경실련은 5일 오후 대구시의회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대구시민은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주제로 대구시민토론회를 열었다.
발제자로 나선 이정윤 대표는 "원전 중대사고평가, 환경영향평가, 건강영향평가, 먹이사슬 평가 등 오염수 해양 방류와 관련해 일본에 불리한 평가는 모조리 빠진 게 이번 IAEA 최종보고서"라며 "농도기준을 봐도 국제적 기준에 부합한다고 볼 수 없는 오류 투성이 보고서"라고 비판했다.
이어 "도쿄전력이 내세우는 오염수 처리시설 '알프스'만 봐도 삼중수소나 다른 핵종을 다 못 거른다"면서 "그런데 일본은 한국과 중국 원전 인근에도 삼중수소가 나온다며 교묘하게 말을 비튼다"고 했다.
그러면서 "핵사고가 터진 후쿠시마와 다른 나라 바다를 비교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 "일본이 방류하면 결국 우리 동해쪽인데...우리 동해나 남해 앞바다가 오염수로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후쿠시마 원전 1~4호기 오염수 뿐 아니라 겹납 탱크 플루토늄 핵연료는 손도 못대고 있다"면서 "추가 피폭 피해도 알수 없는데 계속 나올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면 나쁜 선례가 된다"고 주장했다.
특히 "방사능은 눈에 보이지 않고 냄새도 않나는데 한번 바다에 뿌리면 전세계 시민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모른다"며 "문제 없다, 이런 생각이 아니라. 원천을 차단하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시민단체와 야당에서도 오염수 방류를 규탄하는 발언이 나왔다. 이승렬 대구환경운동연합 의장은 "사람을 포함해 바닷 속 수많은 생명체들에게 방사능을 먹도록 강요하는 현실을 용납할 수 없다"며 "이 중차대한 시점에 윤석열 정부는 국가의 책무를 받들어 시민들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당 홍의락 전 국회의원은 "기준치 이하라고 해서 안전성이 검증된 것은 아니지 않냐"며 "정부가 주체성을 갖고 객관적으로 대응하고 판단해야지 일본 정부나 IAEA 판단을 전적으로 의지해선 우리 국민들이 신뢰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육정미 대구시의원은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는 찬반, 정쟁으로 전락해선 안된다"RH 말했다. 손광락 대구경북전문직단체협의회 부대표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에 대해 우리 지역에서도 심도깊은 이야기를 듣고자 오늘 대구시민대토론을 열었다"고 설명했다.
토론에 참석한 시민단체, 환경단체, 야당 인사 등 50여명은 오염수 방류 규탄 퍼포먼스를 펼쳤다. 현수막에는 "안전하면 니 다 무라. 우리는 불안하다", "오염수 방류 중단하라"등의 문구가 적혔다.
한편 "서울에서 도쿄까지" 슬로건을 걸고 지난 6월 18일부터 한국과 일본을 행진하는 '방사능오염수 방류중지 한일시민 도보행진단'도 이날 토론회에 참석했다. 이들은 5~6일 대경북지역을 걷는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