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경북대 교수들도 "윤석열 퇴진" 시국선언한다...대구 대학가 '정권 규탄' 확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교협 14일부터 교수·연구자 서명
오는 19일 수합해 시국선언문 발표  
"윤석열 해고, 민주주의를 요구한다" 
서울, 부울경, 전남 등 전국서 확산
경북대 학생들은 캠퍼스에 대자보

경북대학교 교수들도 "윤석열 대통령 퇴진" 시국선언에 나선다. 

고려대, 부산대(부울경 지역), 경희대, 국민대, 전남대 교수들에 이어 대구권에서는 처음이다. 

앞서 12일 경북대 재학생 캠퍼스 곳곳에 "윤석열 퇴진"을 촉구하는 대자보를 붙인데 이어, 이번엔 교수들이 행동에 나선다. 대구지역 대학가에서도 윤석열 정권을 규탄하는 목소리고 커지고 있다.

경북대 민주화교수협의회(민교협.의장 안승택 교수)에 15일 확인한 결과, 이들은 윤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경북대 교수, 연구자들의 시국선언을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4일부터 온라인을 통해 경북대 소속 교수들과 연구자들의 시국선언 동참 서명을 받고 있다. 조만간 서명 결과를 수합해 내용을 정리할 예정이다. 이어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경북대 교수·연구자 시국선언'이라는 이름으로 오는 19일 경북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국선언문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제는 윤석열 탄핵을 외칠 때"...경북대 캠퍼스에 걸린 '윤석열 퇴진' 촉구 대자보(2024.11.12) / 사진.윤석열퇴진대학생운동본부 경북대지부 
"이제는 윤석열 탄핵을 외칠 때"...경북대 사회과학대에 걸린 '윤석열 퇴진' 촉구 대자보(2024.11.12) / 사진.윤석열퇴진대학생운동본부 경북대지부 

가안으로 작성한 시국선언문 제목은 "민주주의를 요구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해고다"로 알려졌다. 

가장 처음 지적할 문제는 윤 대통령의 인사 문제다. 

민교협은 "온갖 영역에 검찰 출신들로 채우고, 노동자와 노조를 적대하는 자를 노사정 책임자로 앉히고, 뉴라이트 망언을 일삼는 이들을 역사와 교육, 학문과 외교 책임자로 임명한 것 등 인사 문제가 심각하다"며 "문제가 반복되는 것은 그 중심에 무능과 극단적 정책을 일삼는 윤 대통령이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경제 정책의 전반적인 실패에 대해서도 짚고 넘어간다.    

이들은 "IMF(1997년 외환위기)와 코로나19 팬데믹보다 경제가 더 힘들다"면서 "부자 감세가 원흉이라 지목되는 세수 부족으로 국가 재정도는 사경을 헤매고, 지방재정은 수렁에 빠졌다"고 지적했다. 

특히 "국가 연구개발 예산을 통째로 도려내고, 보건, 복지, 노동 재정은 폭탁을 맞고 그로기 상태"라며 "그런데도 진단과 해결을 담당할 윤 대통령과 고위 관료들은 각종 공적 자금을 끌어다 때우겠다며 잘못된 정책과 철학을 굽히지 않고, 사과 비슷한 것조차 한 일이 없다"고 비판했다.  

"대국민담화(담 와)는 이제 그만! 탄핵으로 끝장내자"...대구시 북구 산격동 경북대 대학원동에 학생이 건 윤석열 퇴진 촉구 대자보(2024.11.12) / 사진.윤석열퇴진대학생운동본부 경북대지부

카이스트 졸업식의 '입틀막' 사태와 같은 정부와 국민간의 소통 부제도 비판 대상이다.   

민교협은 "비판자를 반국가 세력으로 몰고, 독립 영웅을 상대로 역사 전쟁을 선동하며, 남북 간에는 마구잡이 말로 군사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며 "의료진과의 대화 단절, 악마화는 말 할 것도 없다"고 했다.

10.29 이태원 참사와 채 해병 사망 사건에 대해 국가 책임을 외면한 태도 역시 문제 삼을 예정이다.

그러면서 "김건희 여사, 역술인, 모사꾼 부류 등 비선개입 의혹이 꼬리를 물고 있다"면서 "이 모두는 당연히 국정 최고 책임자인 대통령 책임이다. 물러나지 않는다면 우리가 끌어내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안승택 교수는 "전국에서 교수들의 시국선언이 잇따르고 있다"며 "대구에서는 경북대 교수들과 연구자들이 먼저 목소리를 낸다. 목소리를 내고 싶은 교수들 모두 시국선언에 동참해 달라"고 호소했다.

'윤석열퇴진대학생운동본부 경북대지부'와 '윤석열탄핵소추촉구 대학생시국농성단'은 지난 12일 경북대 캠퍼스 곳곳에 "대국민담화(담 와)는 이제 그만, 탄핵으로 끝장내자", "윤석열 퇴진" 대자보를 붙였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