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경북 북부 기초 의장단 "TK통합 반대", 대구시는 '시의회 동의' 절차...'삐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동·예천 등 11곳 기초 의장들 반발
"지역 갈등, 지방소멸 가속화...중단"
경북 반발 속에 대구는 통합 절차 밟아
대구시 기대효과 등 '의견 청취 안건'
대구시의회 접수, 12월 본회의 심의
과반 찬성 시 TK행정통합안 통과
홍준표 "골고루 잘 사는 지역 만들 것"

대구경북행정통합을 놓고 대구시와 경상북도가 삐걱거리고 있다.

경북에서는 북부지역 기초의회 의장단이 통합 반대 성명을 낸 반면, 대구시는 통합을 위한 대구시의회 의견 동의 절차에 들어갔다. 모두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어 통합에 또 다른 갈등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경북 안동시, 영주시, 상주시, 문경시, 예천군, 의성군, 영양군, 울진군, 봉화군, 청송군, 영덕군 등 11개 기초의회 의장들이 소속된 '경북 북부지역 시.군의회 의장협의회'는 27일 오전 경북도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대구경북행정통합은 대립·갈등을 조장하고 지방소멸을 가속화한다"며 "추진 중단"을 촉구했다.

'경북 북부지역 시.군의회 의장협의회' 소속 기초의회 의장들이
'경북 북부지역 시.군의회 의장협의회' 소속 기초의회 의장들이 "행정통합 추진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2024.11.28.경북도청) / 사진 제공.안동시의회
경북 북부 기초의회 의장들이 경북도에
경북 북부 기초의회 의장들이 경북도에 "행정통합 반대" 성명서를 전달하고 있다.(2024.11.28) / 사진 제공.안동시의회

협의회는 "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은 시.도민의 의견 수렴 없이 광역단체장과 정부에서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위로부터의 결합에 불과하며, 절차적 민주주의를 명백히 위반했다"면서 "시.군 기초단체의 요구는 철저히 무시하는 작금의 형태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행정통합 논의는 지역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차대한 사안이며, 지역의 문제는 지역민들이 스스로 선택해야 한다"며 "홍준표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을 즉각 중단하고, 도탄에 빠진 민생을 살리는 데 온 힘을 쏟아주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김경도 안동시의회 의장은 28일 <평화뉴스>와 통화에서 "행정통합이 된다면 오히려 인구가 많은 대구로 인구가 집중될 수밖에 없어 지방소멸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며 "행정통합의 효율성이나 재정적인 문제를 따져봤을 때 지방자치의 가치를 훼손시키고 자율성을 역행하도록 한다"고 꼬집었다.

홍준표 대구시장이 대구시의회 제313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2024.11.28) / 화면 캡쳐.대구시의회
홍준표 대구시장이 대구시의회 제313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2024.11.28) / 화면 캡쳐.대구시의회

대구시는 행정통합 관련 주민 의견 수렴 절차인 '대구시의회 동의'에 나섰다.

대구시(시장 홍준표)는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통합에 대한 의견 청취 안건'을 대구시의회에 접수했다고 28일 밝혔다.

지난 10월 21일 홍준표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이 서명한 '대구경북 통합을 위한 공동합의문' 중 "대구시의회와 경북도의회의 의견 청취를 원칙으로 하며, 충분한 주민 의견 수렴을 위해 노력한다"는 내용에 따른 것이다.

안건은 행정통합 추진 과정과 대구시·경북도를 폐지하고 '대구경북특별시'로 통합한다는 공동 합의문 내용, 행정통합특별법과 통합 기대효과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 이번 주부터 진행 중인 행정통합 시민 여론조사 결과도 참고 자료로 첨부될 예정이다.

대구시의회는 해당 안건을 오는 12월 12일 열리는 본회의에서 심의할 예정이다. 안건은 재적의원 과반수 출석에 출석의원 과반수 찬성을 받아야 통과된다.

홍준표 시장은 28일 대구시의회 본회의에서 "대구경북특별시가 재탄생하면 소외되거나 교통이 불편한 지역이 균형 발전을 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되고, 골고루 잘 사는 지역이 될 것"이라며 "대구시는 대구시대로, 경북도는 경북도대로 노력해서 통합 절차가 원만히 이뤄졌으면 한다"고 밝혔다.

특히 "(행정통합 관련) 여론조사를 정밀하게 해서 의회에 추가 자료로 제출할 것"이라며 "정부를 설득하고, 행정통합 권한을 이양받아 우리 힘으로 대구경북이 다시 일어서는 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