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우리는 하루빨리 통일을 앞당겨야 한다는 절실한 염원을 담아 7천만 겨레 앞에 '6.15 공동선언' 실천을 위한 '남·북·해외공동행사 남측준비 위원회' 결성을 선언한다"
(2005년 1월 31일 「6.15남측위 결성선언문」 중)
힘겨운 상황에도 오랫동안 버텨온 6.15와 범민련. 한국의 통일운동 주축인 두 단체가 모두 해산하면서 국내의 통일운동은 위기에 빠졌다.
북한은 지난 1월 '6.15공동선언실천 북측위원회', '조국통일범민족연합(범민련) 북측본부' 등 남북 모두에 본부를 둔 통일운동 단체를 정리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범민련 남측본부는 이미 해산했다. 2005년 1월 31일 만들어진 6·15남측위도 결성 20년 만에 문을 닫는다.
통일운동 위기 속에서 그럼에도 다시 평화를 위한 활동을 이어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대구경북본부'는 21일 오후 대구 수성구 생명평화나눔의집에서 이홍정 6.15남측위 상임대표의장 간담회를 열었다.
윤석열 정부 들어 급격하게 경색된 한반도 정세에 대해 쓴소리를 했다. 이 의장은 "윤석열 정부 이후 남북이 정전체제 하에서 교전 관계가 됐다"며 "6.15선언 이후 평화통일 시대를 열기 위한 비전을 발전시키고, (남북이)함께 노력했는데 이제는 남북 양 정권이 폐지(6.15와 범민련)시켰다"고 비판했다.
때문에 "6.15 지역본부들은 다시 풀뿌리 통일운동으로 돌아가야한다"며 "풀뿌리 통일운동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조직의 변화나 통일운동의 과정을 재설정하는 과정에서 풀뿌리 통일운동을 약화시키지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 비전의 주체는 인민(국민)"이라며 "대통령이나 정부가 평화를 만들어나가는 주역이 아니라, 이 땅에 살아가는 인민이 평화 통일의 주권자라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최은아 6.15남측위 사무처장은 '남북관계 진단과 조직적 현황'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최 처장은 "현재 조직 구성으로는 정상적으로 운영할 수 없는 상태"라며 "그동안 함께했던 많은 단체들이 향후 미래를 개척하는 데에도 같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과제"라고 진단했다.
이어 "오는 6월 총회를 열어 (6.15)남측위를 해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신 "이 자리에서 새로운 조직을 만드는 것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6.15남측위와 6.15남측위 지역본부들이 함께 토론하고, 조직의 구체적인 과제와 방향을 정립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윤석열 정부 통일정책에 대해서는 "대북 붕괴 정책"이라고 혹평했다.
그는 "북한과 교류·협력 역할을 하던 통일부가 윤석열 정부 들어 북한 정권 변화를 위해 개입하는 역할로 변화하고 있다"면서 "군사분계선 인근 충돌 방지를 위한 '9.19 군사합의'도 무력화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또 "북한은 남북을 적대적 두 국가로 규정하는 조치를 취했다"며 "남북 사이 화해와 협력을 담당한 기구들을 정리했고, '전쟁을 할 경우 대한민국을 점령하겠다'는 것도 헌법에 담겠다고 선언했다. 한반도에 전쟁 위기가 고조되고 냉전 구도가 다시 만들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인 우리 민족의 자주적 역할을 강조해 왔는데도 전쟁과 동맹 구조라고 하는 공고한 냉전 대결의 벽을 허물기 위한 노력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다"면서 "한반도 내 군사적 위기와 남북관계 정상화의 측면에서 남북교류단체로서, 우리도 조직에 대한 깊은 성찰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