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강은희 대구교육감 6년...현장 교사 10명 중 7명, IB·늘봄교실 "부정적...기조 바꿔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구 교사 1,407명 대상 설문조사
주요 교육정책 9개 중 8개 '부정' 평가
IB "현장과 안맞다", 1수업 2교사제 "긍정"
교사 81.8% "현장 어려움 개선 안해" 비판
전교조 "의견 반영해 개선책 제시" 촉구
교육청 "개선했고, 지원 중인데...당황"

강은희(59) 대구시교육감이 대구지역 교육을 이끈지 6년째를 맞았다. 

IB 교육과 늘봄교실 등 주요 정책에 대해 현장 교사 10명 중 7명이 "부정적"으로 평가한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구지부(지부장 김도형)는 지난 27일 전교조 대구지부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은희 대구시교육감 2기 교육정책 중간평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5월 27일부터 6월 5일까지 대구지역 유·초·중·고등학교 교사 1,40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강은희 대구교육감 2기 중간평가 현장교사 설문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2024.6.27. 전교조 대구지부 강당)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강은희 대구교육감 2기 중간평가 현장교사 설문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2024.6.27. 전교조 대구지부 강당)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 IB교육·늘봄교실 등 강은희 교육감 9개 교육정책 중 8개 '부정적' 응답 높아

주요 설문 대상 내용은 강은희 교육감이 추진하고 있는 역점 교육 정책들이다.

▲1수업 2교사제 ▲IB교육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교사 업무 경감 ▲교권 보호 노력 ▲돌봄·늘봄교육 추진 과정  ▲교원 인사제도 공정성 ▲학교지원센터 효용성 ▲에듀테크, 디지털 환경 조성 등 9개 정책이다.  

특히 강 교육감의 주요 정책인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인터네셔널 바칼로레아) 국제인증학교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응답자의 77.1%(1,084명)가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강은희 제11대 대구시교육감 / 사진 캡쳐.대구교육청 홈페이지
강은희 제11대 대구시교육감 / 사진 캡쳐.대구교육청 홈페이지

현장 교사들은 "과도한 예산 낭비", "학생들의 피로감 과중", "학교 현장과 맞지 않다" 등 의견을 냈다.

'돌봄·늘봄교실' 정책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9.8%(1,122명)가 '돌봄·늘봄교실 추진이 불합리하다'고 답변했다. 또 교원업무 경감을 위해 설치한 '학교지원센터'의 효용성과 관련해서도 73%(1,027명)가 "교육행정 업무 감축에 도움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반면 '1수업 2교사제가 교육과정 운영에 도움이 된다'는 질문에는 42.2%(594명)가 "그렇다"고 응답해 "그렇지 않다"(31.4%, 442명)보다 높았다.

◆ 대구 교사 81.1% "교육청, 정책 시행 시 교사 의견 수렴 불충분"

대구교육청이 각종 교육정책을 시행할 때, 교사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1,148명(81.1%)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는 각각 44명(3.15%), 28명(2%)에 불과했다.

또 "교육청이 학교의 민주적인 조직 문화를 위해 관리 감독에 힘쓴다"는 질문에도 "그렇지 않다"는 답변이 절반 이상(59.7%, 840명)으로 "그렇다"(13%)보다 4배 이상 높았다.

학생·학부모의 교권 침해 예방과 관련해서는 69.2%(974명)가 "노력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학교 내 갑질, 차별, 폭력으로부터 구성원을 보호하려 노력하느냐는 질문에도 64.6%(909명)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김봉석 전교조 대구지부 정책실장이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2024.6.27)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김봉석 전교조 대구지부 정책실장이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2024.6.27)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 학교 현장 우선 과제?..."과밀학급 해소" 55.6%, "교육활동 침해 보호" 54.1%

학교 현장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복수응답)으로 '과밀학급 해소와 학급당 학생 수 감축'이 55.6%로 가장 많았다. 

'학생·학부모로부터 교육활동 침해에 대한 보호와 대응' 54.1%, '행정업무 경감을 위한 다양한 정책' 50.4%, '교무실과 행정실의 명확한 업무 분리' 41.8% 순이었다. 

하지만 교사들이 체감하는 교육청의 개선 노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교육청이 학교 현장의 어려움을 개선하려 노력한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81.8%(1,123명)가 "그렇지 않다"(전혀 그렇지 않다 734명, 그렇지 않다 389명)고 응답했다.

김도형 전교조 대구지부장이 대구시교육청에
김도형 전교조 대구지부장이 대구시교육청에 "정책기조 전환"을 촉구했다.(2024.6.27)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 "강은희 교육감, 현장 목소리 들어야...교섭 통해 개선책 제시"

전교조 대구지부는 "6년 간 대구 교육을 이끈 강 교육감의 주요 정책 9개 중 8개 분야에 대해 교사들이 부정적으로 답변했다"며 "강 교육감과 대구교육청은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교사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현장에 귀 기울여 대구 교육 발전을 위해 정책 기조를 전환하라"고 촉구했다. 

김도형 전교조 대구지부장은 "안타깝게도 현장 교사들이 대구 교육이나 교육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높았다"며 "교육청이 현장 이야기를 귀담아듣고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분석해서 지역별로 나타나는 격차들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교육 관계자들이 대구교육청을 찾았다. 강은희 대구교육감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2024.6.21) / 사진.대구시교육청
인도네시아 교육 관계자들이 대구교육청을 찾았다. 강은희 대구교육감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2024.6.21) / 사진.대구시교육청

◆ IB "전국 확대 중", 교권보호 "많이 개선해", 인력 채용 "부담 덜 가도록 지원" 반박  

대구교육청은 입장이 다르다. 많은 부분을 개선했고 지원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구교육청 기획조정과 관계자는 "IB 교육의 경우 전국적으로 11개 시.도 교육청이 같이 참여하는 것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교권 보호와 관련해서도 "법이 개정되며 대구교육청도 많은 부분을 개선했다"고 답했다.  업무 부담에 대해서는 "인력 채용 등 교사들에게 부담이 덜 가도록 지원하고 있는 상황이라 (설문조사 결과가) 당황스러운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노조와 단체협상을 준비 중"이라며 "교섭 절차 등이 마무리되면 이런 부분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강 교육감은 지난 2018년 지방선거에 출마해 대구교육감에 당선된 뒤 4년 임기를 마치고 지난 2022년 지방선거에 다시 도전해 재선에 성공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