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정사 최초로 현직 대통령이 체포된 날.
내란수괴 혐의로 압송된 윤석열 대통령을 지키겠다고 또 다시 국민의힘 현직 국회의원 35명이 새벽부터 서울 용산구 한남동 윤 대통령 관저로 몰려갔다. '인간 띠'를 만들며 공수처의 영장 집행에 항의했다.
체포를 저지하겠다고 관저에 집결한 여당 국회의원 중 대구경북 지역 국회의원은 12명으로 가장 많았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는 12.3 비상계엄 사태 발생 43일 만인 15일 오전 10시 33분쯤 윤 대통령을 체포했다. 법원의 첫 영장 발부 15일 만이다. 1차 영장 집행 당시 대통령 측의 거센 반발로 체포에 실패했다가, 2차 집행에서 신병을 확보했다. 윤 대통령은 피의자 신분으로 공수처에서 수사 받고 있다.
공수처와 경찰은 15일 오전 4시 40분쯤부터 체포영장을 집행하기 위해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진입을 시도했다. 공수처 수사관들과 경찰 등 3,200명여의 공조본 인력이 체포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국민의힘 국회의원들은 윤 대통령 체포를 막기 위해 관저에 모였다. 오전 3시 20분쯤부터 오전 8시까지 관저에 모인 국민의힘 국회의원은 모두 35명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불법 체포영장"이라며 항의했다. 나경원 의원은 "무리한 물리력을 행사하는 것은 법치주의 후퇴"라고 발언했다.
지난 6일 1차 영장 발부 마지막 날에도 국민의힘 국회의원들은 관저 앞에 몰려가 논란이 됐다. 당시에는 모두 45명이 관저 앞을 지켰지만, 이번에는 그 보다 10명 적은 35명의 의원들이 모였다.
체포 날 관저 앞에 가장 많이 모인 지역구는 대구경북이다. TK 국회의원 12명이 관저 앞에 집결했다.
대구 3명 ▲김승수(북구을) ▲이인선(수성구을) ▲권영진(달서구병), 경북 9명 ▲구자근(구미시갑) ▲강명구(구미시을) ▲김석기(경주시) ▲김정재(포항시 북구) ▲이상휘(포항시 남구·울릉군) ▲송언석(김천시) ▲이만희(영천시·청도군) ▲정희용(고령군·성주군·칠곡군) ▲조지연(경산시) 의원 등이다. 대구지역 출신인 비례대표 김위상 국회의원도 이날 관저 앞에 있었다.
앞서 6일 1차 저지 당시에 모인 TK 국회의원 15명보다 3명 줄었다. 정희용 의원 1명을 뺀 11명 모두 지난 6일 관저 앞 모임에 참석했다. 1차 때 관저에 간 최은석(대구 동구·군위군갑), 강대식(동구·군위군을), 임이자(경북 상주시·문경시), 임종득(영주시·영양군·봉화군) 의원은 이날 관저 결사대에서 빠졌다.
이처럼 윤 대통령 체포를 막겠다고 지난 6일 한남동 관저로 몰려갔던 TK 국회의원 15명은, 앞서 9일 진보당 대구경북 시.도당으로부터 '내란선동', '범인 은닉',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경찰에 고발됐다. 경찰에 고발되고도 윤 대통령을 지키겠다고 체포 당일에도 관저 앞에 집결해 비판을 받고 있다.
이정아 '윤석열퇴진 대구시국회의' 공동집행위원장은 15일 평화뉴스와 통화에서 "내란죄로 조사 받는 범법자를 위해 인간 띠까지 이으며 관저로 몰려간 것은 정치인으로 국민들에게 보여줄 모습이 아니지 않냐"며 "각자가 헌법기관인데, 무법천지를 만드는 일에 나선 것은 상식 이하의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불법에 동조하는 모습을 대구시민에게 보여줘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국힘 국회의원들 의식이 참으로 섬짓하다"면서 "헌법과 상식을 벗어난 행동을 할 거면 국회의원 배지라도 떼고 나가라"고 요구했다. 이어 "대구에서부터 국민의힘 해체 투쟁을 벌여 추락한 시민 자존심을 되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구참여연대는 이날 성명에서 "어떠한 정치적 이유로도 내란을 부정하고, 탄핵을 반대하고, 수괴의 체포를 방해한 것은 용납될 수 없다"며 "국민의힘은 철저하게 반성하고, 책임을 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체포 방해는 합헌 정당이라면 해선 안될 일"이라며 "위헌정당심판을 청구해야 마땅한 일이지만, 그에 앞서 국민 앞에 사과하고, 지금이라도 정당한 법 집행과 국정 정상화에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 이 사태 속에서도 책임을 지지 않고 권력에 집착해 정략과 술수를 부린다면, 그 말로는 불을 보듯 명약관화하다"면서 "계속해서 내란공범을 자처한다면 국민의힘은 간판을 내려야 마땅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