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취수원을 경북 안동댐으로 이전하는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을 국가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한 심의가 주민 반대로 무산됐다.
대통령 직속 국가물관리위원회 산하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16일 오전 대구경북디자인센터에서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 제3차 정책분과회의'를 열었다.
이는 환경부가 지난해 12월 19일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 안건을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에 접수한 데 따른 것이다.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 의결을 거쳐야 하는데, 이날 열린 정책분과위원회는 본회의 전 해당 안건을 심의하는 단계다.
하지만 회의가 시작되기 전부터 대구경북지역 주민들과 환경단체 인사들이 회의장에 찾아 항의했다. 이들은 정책분과 위원들을 향해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 결사반대"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회의를 취소하라"고 요구했다.
특히 "지역 주민들의 의견 수렴 없이 일방적으로 논의가 진행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며 "주민들을 무시하고 관련 절차를 진행하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환경단체와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 환경부는 40여분간 대치한 끝에 "회의 취소"를 공지했다. 또 낙동강물관리위원회 측은 주민과 환경단체 등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모여 간담회를 열 것을 제안했다.
손광익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 정책분과위원장(영남대 건설시스템공학과 명예교수)은 "지역 주민과 환경단체에서 대표성을 가진 분들이 함께 논의할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해봤으면 한다"면서 "대표성을 가진 이해당사자들이 함께 모여 이야기할 수 있게 간담회를 갖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구경북지역 환경단체들은 이날 회의에 앞서 "안동댐 물은 낙동강 최상류에 있는 경북 봉화군 영풍 석포제련소에서 나온 중금속으로 오염돼 있다"며 "이 물을 취수해 공급하는 것은 위험한 기획"이라고 비판했다.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 대구경북광역협의회, 영풍제련소 주변 환경오염 및 주민건강피해공동대책위원회 등 7개 환경단체는 16일 오전 대구경북디자인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 사업은 경제성·실효성 없는 엉터리 삽질"이라며 "사업 철회"를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홍준표 시장은 안동 시민도 마시지 않는 위험한 물을 대구 시민에게 공급하겠다는 무리한 사업을 계속해서 밀어붙이고 있다"면서 "중금속이 가득한 안동댐 물을 대구 시민의 식수로 사용하겠다는 발상이 말이 안 되고, 천문학적 혈세를 들여 110km나 되는 도수관로를 설치하는 토건 삽질을 하겠다는 것도 이해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어 "홍 시장이 이전을 추진하는 안동댐은 이미 낙동강 공해공장 영풍제련소발 카드뮴, 비소, 납 등의 중금속으로 심각히 오염돼 있다"며 "낙동강물관리위원회가 이 엉터리 사업을 국가사업으로 추진한다면 존립 근거를 상실하게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은재식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는 "환경을 파괴하고 시.도민의 건강권을 위협하며, 수조원의 혈세를 낭비하는 대규모 토건 사업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며 "낙동강물관리위원횐는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을 국가사업으로 추진하지 말고, 폐기 처분해야 할 것"이라고 규탄했다.
대구시와 안동시, 환경부는 지난해 7월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을 국가사업으로 추진할 것을 공식화했다. 사업은 경북 안동댐 직하류에서 원수를 취수해 110km 길이 도수관로를 따라 대구 문산·매곡정류장까지 공급하는 사업이다. 전체 사업비는 1조5,000억원으로 추산했다. 국비 30%, 한국수자원공사 70%를 부담한다.
이를 위해 국민의힘 윤재옥(대구 달서구을) 의원은 지난해 9월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에 관한 특별법'을 대표 발의했다. 현재 상임위인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계류돼 있다. 법안은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 추진단 설립·운영 등을 내용으로 한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