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명이 희생된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지 올해로 11년.
4월 16일 가슴 아픈 그날이 다시 찾아온다. 유가족들은 참사의 진실을 알기 위해 긴 싸움을 계속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라는 요구에 대한 국가의 답변을 기다리는 것은 요원하기만 하다.
대구에서 참사 희생자를 추모하고, 안전사회를 기원하는 시민대회가 열린다.
대구4.16연대는 오는 12일 오후 5시 중구 동성로 CGV대구한일 앞에서 '세월호참사 11주기 대구시민대회'를 연다고 10일 밝혔다. 시민대회는 문화공연과 영상 시청 등으로 이뤄졌다. 이날 대회에는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유가족 5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오후 5시 본대회에 앞서 오후 2시부터 '세월호참사 11년, 우리의 새로운 나라'라는 주제로 전시회가 열린다. 현수막에 세월호참사 관련 사진 13장과 사회적 참사를 담은 사진 9장 등 22장을 전시한다.
또 오후 3시 30분부터 4시 16분까지는 퀴즈대회를 연다. 세월호참사의 진상규명 과정과 관련한 쟁점,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 활동, 유가족과 시민사회의 안전사회 건설을 위한 활동 등을 문제로 낸다. 관련 자료는 4.16연대의 '진상규명 Q&A(→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 오는 12일과 16일에는 '우리가 바란다'라는 제목의 캠페인도 진행한다. 생명 존중 안전사회를 바라는 마음을 시민들이 메모지에 적어 현수막과 조형물에 붙인다. 이후 4.16연대에서 이를 취합해 대선 후보들에게 정책 제안 등 요구사항을 전달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다.
참사 당일인 오는 16일에는 오후 12시부터 7시까지 옛 대구백화점 인근에서 '추모, 약속, 희망을 위한 4.16기억공간'을 운영한다. 분향소 형식으로 참사 희생자들의 영정사진을 놓고, 종이꽃 304송이를 헌화할 예정이다.
대구4.16연대는 "그동안 참사 피해 가족과 시민들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사회적 참사와 생명존중, 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은 현저히 높아졌다"면서 "하지만 국민이 변하는 동안 국가는 변하지 않았다. 무수한 참사들이 증명하듯 국가는 여전히 무책임하고 무능하다"고 비판했다. 때문에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맞아 대구시민들과 함께 변하지 않은 국가를 규탄하고, 생명존중 안전사회를 향한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이겠다"고 덧붙였다.
한유미 대구4.16연대 집행위원장은 "세월호 참사 이후 11년이라는 긴 시간이 지나며 국민들이 기억과 추모는 하지만, 지금 이야기한다고 해서 진실이 밝혀지겠느냐는 이야기도 한다"며 "하지만 사회적 참사는 반복되고 있는 상황에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라는 요구를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가져가야만 재발방지대책도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도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한 인권침해 사건이며, 사회적 참사와 다르지 않다"면서 "한 국가의 대통령이 국민을 위험에 빠뜨리는 상황에서, 생명존중 안전사회 건설을 위해 생명안전기본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