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위기 가속하는 생태학살 멈추자. 함께 사는 길을 위해 일상을 멈추고 파업을 하자"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은 '4.14 기후정의파업'을 하루 앞둔 지난 13일 대구시청 동인청사 앞에서 '4.14 기후정의파업 대구참가단 출정식'을 가졌다. 이들은 지난 2019년 9월 21일 동성로에서 처음 기후위기를 극복하자는 목소리를 낸 이후 5년째 지역에서 기후 위기 해결을 위한 행동을 펼치고 있다.
비상행동은 "가뭄, 폭우, 한파, 태풍 등 우리는 매년 기후재난을 경험하고 있다"며 "경기 부양을 위해 개발사업만 하며 기후재난이 가속화됐다"고 했다. 또 "이 같은 기후위기는 재난의 불평등을 불러왔다"면서 "기후위기 악순환의 피해는 고스란히 노동자와 농민, 서민들이 입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대구시는 지난해 6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 조례'를 제정하고, 같은 해 12월 14일 '2050 탄소중립 전략'을 발표했다"며 "하지만 파크골프장을 인구 대비 가장 많이 건설하고 아파트 미분양률은 전국 최대치를 기록하는 모순적인 모습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4대강사업이라는 토건사업으로 생태학살이 이어졌다"면서 "녹조 독성물질이 검출됐지만 대구시는 어떤 조치도 하지 않고 오히려 금호강 토건사업을 예고해 개발만 외치고 있다"고 꼬집었다.
장정희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 활동가는 "기후정의를 위해 우리는 일상을 잠시 멈추고 기후정의 파업에 나선다"며 "윤석열 정부는 개발 중심의 정책과 사업을 뭄추고 정의로운 전환을 시작하라"고 했다.
대구시민 80여명은 지난 2022년 9월 24일 서울에서 열린 기후위기 파업에 참여해 전국의 시민들과 연대했다. 당시 전국에서 모인 시민 3만5,000여명은 정부 차원에서 기후 위기에 대응하라고 외쳤다.
하지만 정부와 관련 부처, 지자체와 기업들은 여전히 경제개발 부흥에 초점을 맞춘 정책사업을 이어가고 있다는 게 이들 지적이다. 때문에 기후정의를 위한 하루 파업을 올해도 진행했다.
전국 350여개 단체로 구성된 '4.14기후정의파업조직위원회'는 지난 14일 서울과 정부세종청사 앞에서 4.14 기후정의 파업을 열고, 윤석열 정부와 기업들에게 기후정의 실현을 촉구했다. 정부세종청사 일대에는 시민 3,000여명이 모였다. 이들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 국토교통부 2km를 행진했다.
이들은 ▲에너지 공공성 강화를 통한 에너지 수요 대폭 감축 정책 ▲에너지 기업들의 초과 이윤을 환수를 통한 탈핵과 탈석탄 등 에너지 산업 정책 전환 ▲전국의 각종 신공항과 케이블카, 산악열차 등 건설 사업 추진 철회 ▲공공교통 정책 확대 ▲노동자와 농민, 지역주민, 사회적 약자들이 참여하는 정의로운 에너지 정책 전환 시행 ▲그린벨트 해제 권한 지자체 이양 철회 등을 촉구했다.
또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의 '1차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폐기를 요구했다. 이들은 "산업계 요구만 반영한 밀실 협의"라고 주장하며 "반환경적인 계획안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