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경주 월성원전, 잇따른 방사능 누출..."노후 원전 수명연장은 위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호기 12일 방사성폐기물 29톤  
4호기 작년 저장수, 11년 전 중수
바다 누출되는 사고 반복적 발생   
한수원 "기준치 이하" 원안위 조사 
환경단체 "부실·안일, 치명적...폐쇄"

경북 경주시 월성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능 누출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2호기 지난 12일 29톤, 4호기 지난해 6월 2.45톤, 4호기 11년 전 중수(重水) 143kg. 

노후 원전인만큼 안전 우려가 커지고 있다. 수명을 연장하는 게 위험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국수력원자력 월성원자력본부'에 17일 확인한 결과, 지난 12일 오전 10시 5분쯤 경주 양남면 나아리에 있는 월성원전 2호기에서 액체 방사성폐기물 29톤이 동해 바다로 누출됐다. 

경북 경주시 양남면 나아리 월성원자력발전소 풍경. 동해 앞바다를 전경으로 1~4호기가 나란히 서있다. 왼쪽에서 2번째 월성 2호기의 저농도 방사성물질 저장탱크에서 지난 12일 29톤의 액체 방사성폐기물이 바다로 누출됐다. / 사진.한국수력원자력
경북 경주시 양남면 나아리 월성원자력발전소 풍경. 동해 앞바다를 전경으로 1~4호기가 나란히 서있다. 왼쪽에서 2번째 월성 2호기의 저농도 방사성물질 저장탱크에서 지난 12일 29톤의 액체 방사성폐기물이 바다로 누출됐다. / 사진.한국수력원자력

이 사고로 누출된 방사성물질량은 삼중수소 11억6,000만 베크렐, 감마핵종 35만8,000 배크렐로 추정된다. 1리터당 37만9,076 베크렐로, 삼중수소의 액체폐기물 배출 허용기준인 4만 베크렐의 9.5배다.  

한수원은 누출 확인 후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 지역사무소에 보고했다. 지금까지 확인된 이번 누출 사고의 원인은 액체폐기물 처리 탱크의 밸브가 열려 누출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원안위는 이번 사고와 관련해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다. 월성원자력본부에서 제공한 해양환경시료를 지속적으로 분석해서 방사능 누출로 인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감시할 예정이다. 

한수원 "배출된 액체 삼중수소 등 방사능 준위는 허용 기준 이내"라며 "미미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또 "추가 액체방사성 물질 배출은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현재 월성원전 발전소는 안전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중"이라며 "상세한 누출 원인을 점검하고, 필요한 조치를 다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월성 2호기 저농도 액체폐기물 비정상 배출...한수원 홈페이지에 공개된 사고 정보 / 사진.한수원
'월성 2호기 액체폐기물 비정상 배출' 한수원 홈페이지에 공개된 사고 정보 / 사진.한국수력원자력
월성원전 전경 / 사진.한국수력원자력 홈페이지 
월성원전 전경 / 사진.한국수력원자력 홈페이지 

월성원전 방사능 누출 사고는 반복되고 있다.

올해 1월 월성 2호기 누출 사고에 앞서 지난해 6월 22일 월성 4호기에서 사용후핵연료저장소의 저장수가 누설돼 바다로 방출됐다. 월성 4호기는 지난 2013년 2월 24일에도 정비 중 사고가 발생했다. 중수 143kg이 원자로 건물 내부에서 누출됐다.  

환경단체는 수명연장을 중단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경주환경운동연합은 지난 13일 성명서를 내고 "잊을만하면 방사능 누출 사고가 발생해 시민들은 불안하다"며 "한수원은 미미한 사고라고 매번 포장하고 있지만, 경주 앞바다에 29톤의 10만배인 290만톤의 방사성 폐기물을 쏟아부어도, 현재 법적 기준으로는 제재 받지 않는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이어 "이는 핵발전소 안전 규제에 취약함을 드러낸 것"이라며 "설계 수명 30년 종료를 앞둔 월성 2호기~4호기는 수명연장을 중단하고, 노후원전은 순차적으로 폐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은 같은 날 성명서를 통해 "삼중수소와 감마핵종 등 여러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방사성액체폐기물이 바다로 누출된다면 오염은 필연적이고, 치명적"이라며 "한수원은 매번 미미한 수준이라고 하지만 불안은 커져만 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부실하고 안일한 운영은 반박되고 있고, 규제기관은 감시 역할도 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위험을 가중시키는 노후원전 수명연장은  주민 삶을 더 파괴할 뿐"이라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