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월성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능 누출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2호기 지난 12일 29톤, 4호기 지난해 6월 2.45톤, 4호기 11년 전 중수(重水) 143kg.
노후 원전인만큼 안전 우려가 커지고 있다. 수명을 연장하는 게 위험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국수력원자력 월성원자력본부'에 17일 확인한 결과, 지난 12일 오전 10시 5분쯤 경주 양남면 나아리에 있는 월성원전 2호기에서 액체 방사성폐기물 29톤이 동해 바다로 누출됐다.
이 사고로 누출된 방사성물질량은 삼중수소 11억6,000만 베크렐, 감마핵종 35만8,000 배크렐로 추정된다. 1리터당 37만9,076 베크렐로, 삼중수소의 액체폐기물 배출 허용기준인 4만 베크렐의 9.5배다.
한수원은 누출 확인 후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 지역사무소에 보고했다. 지금까지 확인된 이번 누출 사고의 원인은 액체폐기물 처리 탱크의 밸브가 열려 누출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원안위는 이번 사고와 관련해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다. 월성원자력본부에서 제공한 해양환경시료를 지속적으로 분석해서 방사능 누출로 인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감시할 예정이다.
한수원 "배출된 액체 삼중수소 등 방사능 준위는 허용 기준 이내"라며 "미미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또 "추가 액체방사성 물질 배출은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현재 월성원전 발전소는 안전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중"이라며 "상세한 누출 원인을 점검하고, 필요한 조치를 다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월성원전 방사능 누출 사고는 반복되고 있다.
올해 1월 월성 2호기 누출 사고에 앞서 지난해 6월 22일 월성 4호기에서 사용후핵연료저장소의 저장수가 누설돼 바다로 방출됐다. 월성 4호기는 지난 2013년 2월 24일에도 정비 중 사고가 발생했다. 중수 143kg이 원자로 건물 내부에서 누출됐다.
환경단체는 수명연장을 중단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경주환경운동연합은 지난 13일 성명서를 내고 "잊을만하면 방사능 누출 사고가 발생해 시민들은 불안하다"며 "한수원은 미미한 사고라고 매번 포장하고 있지만, 경주 앞바다에 29톤의 10만배인 290만톤의 방사성 폐기물을 쏟아부어도, 현재 법적 기준으로는 제재 받지 않는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이어 "이는 핵발전소 안전 규제에 취약함을 드러낸 것"이라며 "설계 수명 30년 종료를 앞둔 월성 2호기~4호기는 수명연장을 중단하고, 노후원전은 순차적으로 폐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은 같은 날 성명서를 통해 "삼중수소와 감마핵종 등 여러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방사성액체폐기물이 바다로 누출된다면 오염은 필연적이고, 치명적"이라며 "한수원은 매번 미미한 수준이라고 하지만 불안은 커져만 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부실하고 안일한 운영은 반박되고 있고, 규제기관은 감시 역할도 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위험을 가중시키는 노후원전 수명연장은 주민 삶을 더 파괴할 뿐"이라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