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1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 발생 이후 14년의 시간이 흘렀다.
그리고 이 사고로 발생한 방사능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한 지도 2년째다.
해양에 오염수를 버린 횟수만 모두 10차례, 양은 7만7,000여톤에 이른다.
일본정부에 따르면, 도쿄전력은 지난 2023년 8월 24일부터 지금까지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온 방사능 오염수 7만7,000여톤을 모두 10차례에 걸쳐 바다에 방류했다. 11차 방류는 오는 12일부터 31일까지다. 3월 한달간 7,800여톤을 추가로 바다에 방류한다. 일본은 최소 30년 이상 계속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할 방침이다. 사고난 원전의 폐로를 완료하지 못할 경우, 방류 기간은 더 길어진다.
대구경북지역 환경단체들은 후쿠시마 핵사고 14년을 맞아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중단"을 촉구했다.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과 일본방사성오염수해양투기저지대구시민공동행동, 핵없는세상을위한대구시민행동은 11일 오전 대구시청 동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4년 전 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 제1원전은 지난 2011년 2월 '설계수명'을 마쳐야 했지만, 도쿄전력이 '수명연장'을 신청하고 일본의 핵산업안전청이 시설조사를 거쳐 '계속운영'을 결정했다"며 "당시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안전 설계를 철저히 했다'며 국민들을 안심시켰지만, 예측을 뛰어넘는 사고가 일어나 재앙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해 방출된 방사성 물질 세슘 양은 태평양전쟁 당시인 지난 1945년 히로시마 원자 폭탄 170개분에 달하고, 피해액수만 89조에 이른다"면서 "우리는 이웃 나라에서 14년 전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교훈을 기억해 이제는 핵 없는 안전 사회, 탈핵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는 이런한 역사적 경고를 무시하고 원전 확대 정책을 강행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홍준표 대구시장마저 여기에 적극 가담해 대구 군위군에 소형모듈원자로(SMR)가 건설될 예정"이라며 "핵발전소 없는 도시 대구가, 이제 핵발전소의 위협을 직접 감당해야하는 처지가 됐다"고 꼬집었다.
특히 "미국의 대표적 SMR 기업 뉴스케일(NuScale)도 경제성 부족과 기술적 문제로 SMR 프로젝트를 포기했는데, 대한민국과 대구시가 왜 혈세를 들여 강행하는 것이냐"며 "안전을 위해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이들 단체는 "▲윤석열 정부 원전 확대 정책 중단 ▲군위 SMR 계획 철회 한국수력원자력 대구과학관을 홍보처로 이용하려는 계획 중단 ▲신재생에너지로 에너지 정책 전환" 등을 촉구했다.
포항환경운동연합 등이 참여하는 '후쿠시마오염수방류반대포항시민행동'도 이날 오전 포항시청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억하라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투기를 전면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일본 정부는 사고 수습도 하지 못한 채 끊임 없이 나오는 오염수를 태평양에 투기하고 있다"며 "장기간 방류가 누적되면 해양 생태계와 수산물의 안전은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한 번의 핵발전소 사고가 얼마나 오랫동안 많은 피해를 주는지 그 끝을 알 수 없다"며 "미래 세대에게 핵 폐수에 오염된 바다를 물려줄 수 없다. 지금이라도 투기를 멈추고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주환경운동연합 등은 3.11 후쿠시마 14년을 맞아 오는 15일 오후 2시 경주 신라대종 광장 일대에서 탈핵행진을 펼친다. 신라대종에서 시작해 황리단길, 첨성대를 따라 걸으며 "탈핵"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