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인류의 결정적 시기, 이제 10년 남짓 남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영민(전 대구YMCA 사무총장)
『브레이킹 바운더리스 -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담대한 과학』


<당신이 가파르고 굽어진 길을 따라 운전한다고 상상해보라. 대낮이 아니라 어두운 밤에 말이다. 안전을 위한 가드레일이나 추락에 대한 경고 표시판도 없다. 자동차의 전조등은 고장 나 깜빡거리고 있을 뿐이다. 언제라도 도로에 바퀴 자국만 남기고 협곡으로 떨어질 수 있다. 차 안에 사람들은 혼란과 공포에 휩싸여 있을 것이고 뒷좌석에 아이들은 계속 비명을 지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속도를 줄이며 가장 안전한 방법을 찾아야 할 텐데 무슨 확신이 있는지 당신은 어둠 속에서 이리저리 부딪치기를 반복할 뿐 속도를 줄이려 하지 않는다. - 『브레이킹 바운더리스 -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담대한 과학』 P14>

어떤 사람이 꿈속에서 꾼 꿈이 아니다. 책을 시작하는 첫 장 첫 페이지를 장식한 저자 서문이다. 끔찍할 정도로 정확하면서도 한치의 과장이나 어떤 형태의 수식조차 요구하지 않는 바로 지금 지구의 모습을 과학자의 눈은 이렇게 그리고 있다. 지난 수십 년을 지구는 이런 악몽과 닥쳐올 고통에 대해 과연 어떤 준비나 노력이 있었는가? 그렇지만 ‘시간이 부족하다. 앞으로 10년 남짓, 2020년대는 인류에게 결정적인 시기가 될 것이다’라고 저자들은 단언한다.

우리의 상황이 심각함을 이런 비유로 설명한다.
<회의적인 시선으로 보면 지구 회복계획은 사회적으로 심각한 기능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어느 날 NASA가 지구와 충돌하는 궤도를 가진 소행성을 발견했다고 상상해보자. 남은 시간은 10년이다.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과연 인류는 가용할 수 있는 자원과 선의를 가지고 지구적 문제를 풀기위해 합심할 수 있을까? 혹은 아무것도 하지 않을까? 운이 좋기만 바라고 있다가 돌덩어리만 남는게 아닐까? - 『브레이킹 바운더리스 -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담대한 과학』 P17>
 
『브레이킹 바운더리스 -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담대한 과학』(요한 록스트룀, 오웬 가프니 지음 | 전병옥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22년)
『브레이킹 바운더리스 -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담대한 과학』(요한 록스트룀, 오웬 가프니 지음 | 전병옥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22년)


지구 문제의 심각함에 대해서는 모두가 다 알고 있지만 동시에 전 세계의 모든 호소가 끊이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더 이상 희망의 끈을 놓아버리기에는 우리 전제가 너무 아프다는 사실과 오존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전 세계적인 노력이 어느 정도 성과를 가져왔다는 지난 날들을 생각하면서 이제 더 이상 귀 막고 몇몇 부자나라들의 화석연료에 의한 부의 축적이나 자유경제라는 미명으로 꾸며진 가진 자들의 사탕발림에 넘어가는 지금의 현실을 이겨내야 할 것이다.

책에서는 분명하게 ‘실천’이라는 대 전제 필수 불가결한 요소 위에 네 가지의 변화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전 세계인의 합심과 노력을 요구한다.

첫째는 사회적 변화이다. 즉 미래를 위한 금요일(Friday for Future)과 같은 자발적인 시민운동의 속도와 규모 영향력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꼽고 있다. 이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바로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긴급한 행동을 촉구하는 것이리라.(미래를 위한 금요일 : 지난해 스웨덴 학생 그레타 툰베리가 3주 동안 매일 스톡홀름 의사당 계단에서 각국 정부의 기후 변화 대응을 촉구하며 1인시위를 벌인 캠페인처럼, "젊음과 지성은 반항할 권리가 있다"라는 앙리 바르뷔스의 말처럼 자국의 혹은 독점기업의 이익을 위한 지구환경 파괴와 그 정책, 기득권의 논리에 저항해야 한다는 것)

둘째의 변화로 저자들은 ‘정치적’ 해결에 힘을 싣고 있다. 즉 2019년 EU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할 것이라는 공약을 했다. 2020년 9월 중국은 2060년까지, 미국도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있다. 바로 이 세 개의 경제 축이 모두 합심하면 전 세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지대할 것이다.

셋째는 경제적 변화이다. 즉 친환경 에너지 비용이 점점 감소하면서 화석연료의 사용은 필연적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다. 태양광 발전이 지구상 가장 값싼 발전방식임은 자명하다.

넷째는 기술혁신이다. 5G 통신 기술, 인공지능, 생명공학 등 모든 새로운 산업의 주역들은 경제 체제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작동한다면 분명 지구환경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우리는 이제 시작점에 있다. 팬데믹의 상황에서 우리는 충분히 보지 않았는가? 앞으로 얼마나 더 크고 더 많은 이런 모습이 나타날지는 과학자들은 분명하게 예견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 요소들이 잘 작동할 수 있도록 시민들이 힘을 모으고 반발하고, 공감하면서 실천하는 것, 그 밖의 방식은 없다.

그대로 가면 운석이 떨어져 멸망한 공룡시대 지구의 모습을 인류세에서 다시 겪을 수밖에 없다. 바로 낭떠러지다.

 
 
 





 [기고]
 김영민 / 전 대구YMCA·구미YMCA 사무총장, 구미도시재생지원센터장)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