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 이용수(96) 할머니를 모욕하고, 수요시위를 방해한 극우단체 인사들이 기소 의견으로 검찰로 넘겨졌다.
서울 종로경찰서와 정의기억연대(정의연)에 26일 확인한 결과, 종로경찰서는 위안부 피해 생존자인 이용수 할머니에 대한 '명예훼손', '모욕죄', 정의연의 수요시위에 대한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위반(집회방해 금지)' 혐의 등으로 지난 2022년 3월 고소·고발된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 대표 A씨와 엄마부대 대표 B씨, 자유연대 사무총장 C씨 등 극우단체 인사 5명을 서울중앙지검으로 지난 11일 불구속 송치했다.
극우단체 인사들은 2020년부터 수요시위가 진행되는 서울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2년간 시위를 방해했다. 수요시위가 열리는 시간대에 집회 신고를 내고 스피커를 설치해 비명소리나 폭탄소리 등을 틀어놓고 고성을 질렀다. 집회 참가자들을 향해 모욕적이고 원색적인 욕설을 하기도 했다. 위안부 피해자들을 향해 "위안부는 사기", "위안부는 거짓말쟁이" 등 모욕성 발언도 했다.
이 할머니는 이와 관련해 지난 2022년 3월 극우단체 A대표와 B대표, C사무총장 등 5명을 명예훼손, 모욕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 정의연과 천주교 여자수도회 장상연합회도 같은 날 극우단체 인사 12명을 수요시위 집회 방해 등 혐의로 고소했다. 전국여성연대와 평화나비 등도 고발에 동참했다.
경찰이 이번에 송치한 건은 이 할머니의 사건이다. 정의연 고소 건에 대해서는 2년 반째 수사 중이다.
정의연은 "수사가 지지부진한 사이 이들은 매주 수요시위를 방해하고, 주변에서 온갖 욕설과 고성으로 일본군성노예제의 역사적 사실을 부인하며 피해자에게 2차, 3차 가해를 가해 왔다"며 "뒤늦게마나 내려진 경찰 판단이지만 지극히 상식적이고 마땅한 일"이라고 지난 25일 논평에서 밝혔다. 이어 "반인권적이고 역사를 부정하는 세력에 대해 강력한 처벌이 있어야 할 것"이라며 "피해자 명예와 존엄을 지키고 역사 정의가 바로 세워지길 기대한다"고 촉구했다.
'수요시위'는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연'이 지난 1992년부터 서울 종로구 중학동에 있는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여는 시위다. 매주 수요일마다 열려 수요시위라는 이름이 붙었다. 일본 정부를 향해 30년 넘게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사죄와 배상, 진상규명 등을 촉구하고 있다. 피해 생존자들이 직접 시위에 참여하기도 한다. 지난 24일까지 '1658차' 수요시위가 열렸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