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행정통합이 추진 3개월 만에 무산됐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27일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오늘 경북도의회가 대구시장 성토장이 된 것은 유감"이라며 "최종 시한이 내일까지지만 경북도의회 동의는 어려울 것 같다"고 밝혔다.
이어 "대구경북 통합 논의는 장기과제로 돌리고, 우리는 대구혁신 100에만 집중하는 것이 갈등을 수습하는 방안이 될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간 대구경북 통합을 지지해주신 시.도민들에게 송구스럽고 죄송스럽다"면서 "지난 3년간 끌어오던 지방행정 개혁이 생각이 서로 달라 무산된 것은 참 아쉽다"고 덧붙였다.
대구시는 지난 26일 보도자료를 통해 "오는 28일까지 합의가 성사되지 않을 경우, 중앙정부 협의, 국회 입법 절차 등 후속 절차 진행이 늦어져 2026년 7월 통합자치단체 출범이 어려워진다"며 합의 시한을 못박고 경북도의 수용 여부를 밝혀달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홍 시장이 하루 일찍 행정통합 무산을 선언한 데에는 이날 27일 오전 열린 경북도의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주민투표 등 통합 추진 과정에 대해 대구시와 경북도를 비판하는 발언이 나왔기 때문이다.
김일수(국민의힘.구미 제4선거구) 경북도의원은 도정질문에서 "행정통합은 시.도민 의견을 제대로 수렴하지 않은 채 번갯불에 콩 볶아 먹듯이 후딱 해치워 버릴 사안이 아니"라며 "역사적 의미나 주민 삶에 미치는 영향을 볼 때 대구경북 500만 시.도민의 의사를 물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형식(국민의힘.예천 제2선거구) 경북도의원은 "지금 추진되는 행정통합은 시.도민 없이 두 단체장만의 대화로 속도전 하듯 졸속으로 추진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분명히 반대한다"며 "도민 의견수렴을 통해 통합의 정당성을 확보해야 하고, 이를 위해 주민투표를 실시해 도민 의견이 통합 과정에서 주축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대구경북 행정통합 논의는 지난 5월 17일 홍준표 대구시장이 제안하고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화답하면서 추진됐다. 수도권 집중과 지방소멸 위기 상황에서 지역 혁신을 도모하자는 취지다. 출범 예정일은 오는 2026년 7월 1일로 잡았다. 지난 6월 4일에는 홍준표 시장과 이철우 지사,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등 4개 기관장이 회동을 갖고 통합 기본 방향과 정부 차원의 지원 방향을 논의하는 등 급물살을 탔다.
하지만 통합자치단체의 청사와 관할구역 문제, 시민 동의 방식 등을 놓고 갈등을 빚었다. 대구시는 통합 이후 대구청사(대구), 경북청사(안동), 동부청사(포항) 등 청사 3개를 두고 대구권, 경북 북부권과 동부권 등으로 시군을 나눠 관할하자는 입장이었다. 반면 경북도는 대구시청과 경북도청 청사를 유지하고, 중앙정부의 권한을 통합자치단체에 대폭 이양해 자치권을 높이자고 주장했다. 또 대구시는 광역의회 의결을 통해 시민 동의를 얻으면 된다고 했지만, 경북도는 주민투표를 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