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학교가 교수 채용 비리로 7명이 검찰에 송치돼 불명예를 썼음에도 불구하고, 임기를 하루 앞둔 홍원화 경북대 총장이 한국연구재단 상임 이사장 공모에 지원해 국정감사에서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잇따랐다.
더불어민주당 문정복(경기 시흥시갑) 국회의원은 17일 오후 경북대학교에서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의 경북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퇴임 이후 한국연구재단 이사장으로 가느냐"고 질문한 데 대해 홍 총장은 "지원했다"고 인정했다.
문 의원은 "지난 총선에서 국민의미래(국민의힘 비례위성정당) 비례대표도 신청한 적 있는데, 전형적인 폴리페서(Politics+Professor.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교수) 느낌"이라고 질타했다.
같은 당 박성준(서울 중구성동구을) 의원도 "홍 총장의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지원은 부적절하다"며 "비례대표에 출마했어도 떨어졌을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홍원화 총장은 "(이사장직에) 됐으면 좋겠다"고 바랐다. 그는 "21명이 지원해 경합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비례대표 공천 신청에 대해서는 "학자의 길이 아니라고 생각해 1시간 만에 접었다"고 해명했다.
앞서 한국연구재단 임원추천위원회는 지난 8월 14일 공고를 내고 재단 이사장 지원을 받았다. 임기는 임명일로부터 3년이다. 홍원화 총장은 지난 2010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이 재단 기초연구본부 공학단장을 역임했다.
홍원화 총장은 지난 4월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국민의힘 비례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에 공천을 신청했다가 철회했다.
경북대학교 교수 채용 비리에 대해서도 국감에서 질타가 나왔다.
경북대 음악학과 교수 2명은 지난 2022년 6월 교수 채용 과정에서 특정 지원자가 실기 심사에서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게 평가에 사용될 연주곡들을 미리 알려줘 미리 대비할 수 있게 해 '위계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1심에서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현재 검찰이 죄가 가볍다는 이유로 항소한 상태다.
또 국악학과 교수 3명은 지난 2021년 채용 과정에서 심사 기준을 비롯한 시험 정보를 미리 주고받는 부정행위를 저질러 '위계공무집행방해' 혐의를 받았다. 이들 중 2명은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고, 나머지 1명은 벌금 700만원이 확정됐다. 특혜를 받은 교수도 1심에서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으나, "양형이 부당하다"며 항소한 상태다.
국민의힘 정성국(부산 부산진구갑) 의원은 이날 국정감사에서 "채용 비리에 연루된 교수 7명이 검찰에 송치됐는데, 어떻게 생각하냐"고 물었다.
홍원화 총장은 이에 대해 "송구하고 죄송하다"면서 "대학생들이 모여 있는 집단에서 채용 비리가 일어났다는 것 자체가 고개를 못 들 정도"라고 말했다.
정 의원이 "다시는 있어서는 안될 일"이라며 "형사적인 처벌을 떠나 대학 내에서도 중징계를 내려야 한다"고 요구하자, 홍 총장은 "대학 본부는 이런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하고, 문제가 되면 해임을 시키는 등 대학에서 할 수 있는 징계는 최고 수준으로 하고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