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김천의료원 '장관상' 취소, 지역언론의 침묵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독도 불법시설물' 설치 문제도 오리무중...'경북' 광고료 때문?


보건복지부가 김천의료원에 줬던 ‘보건복지부상’을 다시 빼앗았습니다. 임금 미지급과 서류조작 등으로 만들어놓은 ‘화려한 거짓 포장’에 속았다는 점을 알게 된 거죠. 경상북도의 관리 부실도 도마에 올랐습니다.

그런데 대구경북민들 대부분이 이 사실을 모릅니다. 지역언론이 이 문제를 거의 보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물론 보건복지부가 김천의료원에 줬던 즉 우수의료기관에 주는 ‘장관상’을 지난 5월에 취소했을 때, 그땐 몰랐을 수도 있습니다. 근데 최근 한 국회의원에 의해 그 사실이 얼마 전 (7월 2일)밝혀졌음에도 지역언론 대부분이 침묵하는 이유는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듭니다.

김천의료원 , '보건복지부 장관상' 취소

이 문제는 올해 3월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김천의료원은 경북도 정무부지사였던 김영일 원장이 취임한 직후 2010년과 11년 각각 6억 3000만, 10억의 흑자를 냈다고 발표합니다. 김천의료원은 2011년, 2012년 운영평가에서 A등급을 받고 보건복지부 주최 우수의료기관으로 선정되면서 장관상을 받게 되죠.

그런데 김천의료원 A모씨가 올해 3월에 국민권익위, 국민신문고와 보건복지부에 민원을 제기하게 됩니다. “김천의료원이 서류 조작으로 정부평가 1위를 받았다”는 것이죠. 문제가 불거지자 경상북도와 경찰, 보건복지부에서 진상조사에 나섰습니다.

지난 7월 2일 민주당 한영애 의원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보건복지부가 이 민원을 근거로 실태조사를 했더니 “김천의료원은 직원 280여명이 토요일마다 근무한 데 따른 연장근무수당 2010년치 5억1100만원과 2011년치 5억8500만원을 주지 않았고”, “.김천의료원은 고용노동부의 지적을 받은 뒤에야 작년 6월 토요근무수당 6억2000여만원을 지급했으며, 그해 적자 19억원을 기록하게 되었다”는 점이죠.

또한 김천의료원 직원의 내부고발을 접수해 조사해봤더니 서류 조작 사실도 있었습니다. 또, 연 4차례 열도록 돼 있는 윤리위원회와 성희롱예방위원회를 제대로 열지 않았으면서 윤리위원회 등을 연 것처럼 가짜로 서류를 꾸며 제출한 사실이 드러나게 되었는데요.

민주당 한영애 의원 보도자료(2013.7.2)
민주당 한영애 의원 보도자료(2013.7.2)

결국 보건복지부는 올해 5월 조사를 마치고 ‘2011년 우수기관에게 부여하는 장관표창’을 취소. 보건복지부의 요청에 따라 경상북도는 업무  담당자 및 책임자를 경징계하게 됩니다. (견책2명, 경고 2명)

지난 3월 김천의료원 직원의 내부고발에서 부터 7월 2일 민주당 한영애 의원의 자료 공개까지 이 문제를 다룬 지역언론은 초기 내부 고발문제까지는 다루었지만, 그 후속보도는 부실했습니다. 더군다나 7월 2일 보건복지부 장관상 ‘취소’라는 사실이 드러났지만 지면에 한줄도 다루지 않았습니다.

김천의료원 홈페이지에는 <언론보도> 게시판이 있는데요, 여기에는 지역의 많은 언론들이 해당 의료원에 대한 깨알같은 홍보기사로 도배가 되어 있었습니다.

물론 김천의료원이 뼈를 깎는 고통으로 적자 병원을 흑자로 돌려놓았고, 공공의료 기관으로 다양한 서비스도 좋다는 점은 인정합니다. 그리고 이런 모범 사례는 끊임없이 장려하고 격려를 보내야겠죠. 그렇다고 이들의 ‘잘못’과 ‘오류’를 덮어버릴 수는 없는 것입니다. 잘못한 것은 따끔하게 지적받고 재발방지책을 마련해야 하는 것 아닐까요?

<한겨레> 2013년 7월 4일자 8면
<한겨레> 2013년 7월 4일자 8면

경상북도 지사, 독도 불법 시설물 고발.. 경찰 조사 '오리무중'

저도 이 내용을 <한겨레신문>과 통신사인 <뉴시스> 보도를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대부분 뉴스가 보도된 시점이 7월 5일이었기에, 지역언론에서 조금이라도 늦게 이 사안을 다룰 수 있다라는 생각에 지금까지 지켜봤지만, 역시나 였습니다.

비슷한 사례, 지난해 여름에도 있었습니다.

<내일신문> 2013년 1월 3일자 6면
<내일신문> 2013년 1월 3일자 6면
이명박 대통령이 갑자기 독도를 방문하면서 우리가 지금껏 잘 몰랐던 새로운 뉴스가 불거졌습니다.

경상북도와 울릉군이 독도에 여러 가지 불법시설물을 설치했고, 문화재청로부터 허가받기 위해 포토샵으로 사진까지 조작한 사건이었죠. 당시 문화재청은 김관용 경상북도 지사를 문화재관리법 위반으로 고소했지만, 경찰조사는 현재 오리무중입니다.

괘씸죄가 적용되었던 것일까요? 당시 정부는 경상북도의 독도 예산 전액을 삭감하게 됩니다. 그리고 올해 2월 경상북도는 박근혜 정부에게 삭감된 예산 복원을 요청했지만 이 또한 ‘외면’ 당했습니다. 

물론 경상북도와 지역언론은 “일본을 자극하지 않으려는 정부 의도”라고 해석하지만, 그 이면에는 지난해 불거진 경상북도와 울릉군이 독도에 행한 ‘불법행위’가 있었을테도, 경상북도는 이를 반성하는 태도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물론 이 모든 이야기는 지역언론에서 볼 수 없는 뉴스들입니다.

김천의료원의 관리주체는 경상북도이고 김관용 도지사는 경상북도 지방자치단체장입니다. 언론이 이들의 오류를 자꾸만 덮으려고 하는데, 왜 이런 현상들이 자꾸만 발생할까요?

지자체별 정부광고 대행 현황(2006.1.1부터 ~ 2011.8.31까지. 단위 : 백만원)
자료. 김부겸(민주당)의원실. 2011년 10월 국정감사
자료. 김부겸(민주당)의원실. 2011년 10월 국정감사

혹자는 경상북도가 막대한 광고예산으로 언론사와 돈독한 관계를 유지한다는 주장도 있고, 또 다른 분들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단체장의 오류를 최대한 감추겠다는 언론사의 ‘따뜻한 배려(?)’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공공기관에서 ‘서류조작’, ‘불법’을 저질렀고, 중앙정부 차원에서 ‘징계’조치를 내렸지만, 유사한 사례가 계속 반복될 수 밖에 없는 이유 중 하나는 지역언론의 침묵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방정부 및 권력의 감시견제라는 본연의 역할은 뒤로 한 채 언론사가 자신의 생존을 위해 스스로의 신념을 던져버린 것이라고 볼 수 밖에 없는데요.

새누리당 텃밭, 고담도시, 전국 지자체 행복지수 하위 등등 현재 우리 앞에 놓인 대구경북권의 모습은 선출직 공직자들만의 힘으로는 유지되기 어려운 것입니다. 선출직 공직자들은 시민들을 무서워하지 않고 자기 허물을 덮고, 이에 호응해서 지역언론들이 좀 더 큰 품으로 그 허물을 감싸려고 하는 양자 간에 끈끈한 협력(?)이 있어야 가능한 것이겠죠.

kBS 개그콘서트 '황해'
kBS 개그콘서트 '황해'
KBS 개그콘서트 ‘황해’는 어설픈 조선족의 보이스 피싱을 주제로 다루고, “당황하셨어요?”, ‘많이 놀라셨죠?“라는 유행어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지역언론인들에게 똑 같이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선출직 공직자와 지역언론간에 부당한 ‘짬짜미’가 이 코너를 통해서 자꾸만 드러나고 있으니 “당황하셨어요?”라고.

저는 지역언론이 꼭 필요하다고 이야기합니다. 지역사회 민주주의를 위한 동맥과 실핏줄로써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지만 지방 정부와 지역 언론 간에 ‘부당한 짬짜미’를 발견할 때 마다, 괴롭습니다!







[평화뉴스 미디어창 237]
허미옥 / 참언론대구시민연대 사무국장 pressangel@hanmail.net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