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학교가 '세월호 참사' 2백일 안산행 추모 버스 참가자 모집 현수막을 불허해 논란이 일고 있다.
영남대 대학생 소모임 '세월호 기억하기 영남대모임(세월호모임)'은 "대학이 세월호 참사 200일 추모를 위한 안산행 버스 참가자 모집 현수막을 29일 '정치적이라는 이유로 불허했다'"고 31일 밝혔다.
세월호모임에 따르면 지난 28일 세월호모임 소속 이지원(21.심리학과)씨는 '세월호 참사 200일 잊지 않기 위한 대학생들의 동행 노란버스'라고 적힌 현수막을 대학에 걸기 위해 학생지원센터에 갔다.
이 버스는 세월호 참사 200일째인 11월 1일 당일 경기도 안산 분향소를 찾아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같은 날 오후 서울 청계광장에서 열리는 '국민과 세월호 가족들이 원하는 특별법 제정 촉구 범국민대회'에 참가해 유가족들을 위로할 목적으로 자발적인 시민들의 참여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대구경북에서는 영남대와 경북대 등 2곳에서 대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이 같은 현수막을 걸고 있다. 경북대에서는 총학생회와 대학 본부 허가를 받아 이미 대학 내에 현수막이 게재됐다.
그러나 영남대는 세월호 참사가 '정치적 이슈'라는 이유로 대학 내 현수막 게시를 불허했다. 세월호모임이 외부게시물 규정에 따라 대학 본부 캠퍼스관리팀에서 승인 도장을 받고 최종 허가를 받기 위해 영남대 학생지원팀을 찾았지만 현수막 게시에 대한 최종 '승인제한' 결정을 내린 것이다.
세월호모임은 대학 본부의 승인이 떨어진 사안에 대해 왜 학생지원팀이 불허결정을 내렸는지 즉각 항의했다. 이에 대해 학생지원팀은 "요청한 현수막 게시 승인에 대하여 영남대학교 게시물관리규정 제5조 2항에 의거하여 승인되지 않았음을 알려드립니다"라는 메일을 29일 세월호모임에 보냈다.
영남대 게시물관리규정 제5조 2항을 보면 '게시물 내용은 교육목적, 일반사회통념 및 학칙 등에 위배되지 아니하여야 되며, 특정 종교 및 정치와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지 아니하여야 된다'고 나와 있다. 때문에 영남대는 이 규정을 들어 "현수막이 승인제한 사유에 속해 허가를 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세월호모임은 대학 내 종합강의동 옆 현수막 설치대와 대학 입구에 걸려고 했던 현수막 2장 중 대학 내에 걸려고 한 현수막은 게시하지 못했고 영남대 입구에만 경산경찰서 허가를 받아 게시했다. 이후에도 세월호모임은 학생지원팀에 게시물 승인을 요구했지만 불허 입장은 변하지 않고 있다.
세월호모임 소속 이지원씨는 "세월호 참사가 왜 정치적인지 아직까지 이해할 수 없다"며 "대형 참사 희생자들에 대한 추모도 정치적 이슈로 여기는 영남대의 이번 불허 결정에 분노한다"고 말했다. 또 "세월호 특별법이나 책임 소재 공방은 정치적이라고 여길 수 있을지 몰라도 참사 200일을 돌아보고 희생자와 유가족을 위로하려는 순수한 의도를 자신들의 잣대로 해석하는 행위가 더 정치적"이라며 "대학의 인본주의적 교육 목적과도 맞지 않는 결정이다. 참 씁쓸하고 안타깝기만 하다"고 덧붙였다.
백원기 학생지원팀장은 "학생들의 의도는 알겠다. 그러나 세월호는 아직 국회에서 그 문제로 시끄러운 부분이 많아 예민한 사안"이라며 "정치권 이슈기 때문에 충분히 정치적 사안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정치적 내용은 게시할 수 없다는 학칙에 위배되기 때문에 현수막을 불허했다"면서 "세월호라는 단어 자체가 정치적이다. 그것은 나의 판단이자 대학의 판단이다. 번복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세월호 기억하기 영남대모임'은 영남대 소속 학생 7명이 지난 9월 만든 대학 소모임으로, 지난 한달 동안 영남대 입구에서 '유가족들이 요구하는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위한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