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대구 '박정희 우상화 반대' 범시민운동본부 출범..."조례 폐지" 서명운동 펼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 등 지역 57개 단체
'박정희 동상' 등 기념조례 폐지 청구 서명운동
6개월 안에 1만4,000여명 서명 받아 제출
전국연대 구성 추진...시민캠페인·언론 광고 등
"홍준표 시장, 반역사적 민주주의 역행 중단"

대구시의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건립에 반대하는 '범시민운동본부'가 출범했다.

'박정희우상화사업반대 범시민운동본부'는 29일 오후 동성로 CGV대구한일 앞에서 '박정희우상화반대 범시민운동본부 출범·홍준표 대구시장 규탄 시민대회'를 열었다.

'박정희우상화반대 범시민운동본부 출범, 홍준표 대구시장 규탄 시민대회'(2024.5.29)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박정희우상화반대 범시민운동본부 출범, 홍준표 대구시장 규탄 시민대회'(2024.5.29)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범시민운동본부는 대구지역 시민사회단체, 노동계, 진보정당 등 57개 단체로 꾸려졌다.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 대구참여연대, 민주노총대구본부, 정의당·진보당·기본소득당·녹색당 대구시당 등이 참여하고있다. 

상임공동대표는 김승무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 상임공동대표, 김찬수 4.9인혁열사계승사업회 이사장, 박호석 대구환경운동연합 상임대표, 이길우 민주노총대구본부 본부장, 김도형 전교조 대구지부장, 엄창옥 경북대 명예교수, 윤덕홍 전 교육인적자원부(현 교육부) 장관, 이정미 대구경북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 정재형 변호사 등 9명이다. 임성종 대구경북추모연대 대표가 집행위원장을 맡아 실무를 총괄한다.

범시민운동본부는 6월 중으로 박정희 동상 설립 근거가 되는 '대구광역시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 청구 범시민 서명운동'을 전개한다. 서명 목표는 1만4,000여명이다.

시민 서명을 받아 대구시의회에 제출한다. 만약 대구시의회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불복 시민행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주민조례발안에 관한 법률' 제2조는 "18세 이상 주민은 지방의회에 조례를 제정하거나 개정, 폐지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청구권자가 조례 폐지를 청구하는 경우 청구인 대표자를 선정해 지방의회 의장에게 대표자 증명서를 발급받은 뒤, 의장이 청구인명부를 공표한 날로부터 6개월 이내 서명부를 제출해야 한다.

같은 법 제5조는 인구 800만명 미만 광역시.도의 경우 청구권자 총수의 150분의 1 이상 서명을 받아야 한다고 돼 있다. 대구시의회(의장 이만규)에 따르면 대구지역 청구권자 총수는 205만3,423명이다. 이 중 1만3,690명 이상의 서명을 받아야 한다. 

"홍준표 시장 규탄한다" 피켓팅(2024.5.29)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홍준표 시장 규탄한다" 피켓팅(2024.5.29)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또 ▲박정희 바로 알기 범시민 캠페인 ▲박정희 동상 반대 전국연대 ▲언론에 박정희 동상 반대 광고 개시 등의 활동을 펼친다.

범시민운동본부는 출범선언문에서 "홍준표 대구시장은 역사적 논란을 고려하지 않고 박정희 동상 건립을 추진한다"며 "민주주의에 역행하는 반역사적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또 "우리는 홍 시장의 박정희 동상 건립 시도에 맞서 범시민운동본부를 결성한다"며 "대구경북을 포함해 전국의 시민단체와 정당들이 모여 박정희 우상화 사업의 추진을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김찬수 '박정희우상화사업반대 범시민운동본부' 상임공동대표는 "박정희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이미 이뤄졌는데도, 홍 시장은 동상을 세워 추모하고 기념하려 한다"며 "얄팍한 꼼수로 시민들을 현혹하고, 정치적 입지를 채우려 하는 홍 시장은 동상 건립 계획을 멈춰야 한다"고 말했다.

김찬수 '박정희우상화반대 범시민운동본부' 상임공동대표가 홍준표 시장을 규탄하고 있다.(2024.5.29)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김찬수 '박정희우상화반대 범시민운동본부' 상임공동대표가 홍준표 시장을 규탄하고 있다.(2024.5.29)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박정희 전 대통령 기념사업'은 홍 시장이 광주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 기념물이 많은 반면, 대구에는 박정희 전 대통령 기념물이 없다는 말 한 마디로 시작됐다.

동대구역 광장과 대구대표도서관에 박정희 동상 2개를 건립하고, '박정희 광장'으로 이름을 바꾼다. 동상 건립과 시설 부대 비용에 드는 예산은 모두 14억 5천만원이다.

지역 시민사회는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군사정권 독재자이자 수많은 민주화 운동가들을 희생시킨 인물을 기념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구시는 사업을 강행하고 있다.

대구시의회는 지난 2일 대구시가 제출한 '대구광역시 박정희 대통령 기념사업에 관한 조례안'을 통과시켰다. 시의원 32명 중 31명이 찬성표를 던졌다. 조례안은 대구시가 박 전 대통령 기념사업과 관련한 행사, 그 밖에 대구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또 대구시 산하 공사·공단 또는 출자·출연한 법인에 기념사업을 위탁할 수 있게 했다.

대구시는 조례안이 통과된 뒤 '박정희 대통령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를 꾸렸다. 위원회는 건축·조각·미술·안전 등 분야 10명과 대구시의원 1명 등 11명으로 구성됐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