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동상' 건립 예정지인 동대구역 광장에 대구시가 광복절 전날 '박정희 광장' 표지판을 설치한다.
대구시에 12일 확인한 결과, 오는 14일 오전 대구시 동구 동대구역 앞 광장 좌측 잔디광장에 '박정희 광장'이라고 적힌 표지판을 세운다.
당일 오전 대구시는 동대구역 광장에서 '박정희 광장 표지판 제막식'을 연다. 이 자리에는 홍준표 대구시장 등이 참석한다. 전직 대통령 박근혜씨 등 박정희 전 대통령의 유족들의 참석은 불투명하다.
사업 목적은 대구시가 추진하는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건립과 함께 '동대구역 광장'을 '박정희 광장'으로 부르는 것이다. '동대구역 광장'은 법적·행정적 명칭이 아니다. 시민들이 관습적으로 부르던 이름이다.
대구시 '명칭위원회'를 통과한 이름이 아니다. 이번에 '박정희 광장'으로 부르는 것 역시 법적·행정적 지위를 얻는 것은 아니다. 대구시는 동상 건립과 함께 새 상징성을 부여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동대구역에 들어설 박정희 동상의 테마가 '산업화'인만큼 동대구역 광장을 '박정희 광장'으로 불러 대구지역의 '산업화 정신'을 강조한다는 게 대구시의 목적이다.
박정희 동상 건립 절차는 계속 진행하고 있다. 대구시는 동대구역에 들어설 3m 동상과 대구도서관(남구)에 건립할 6m 규모의 동상에 대해 8월 초까지 1차 심사를 마쳤다. 동상을 건립할 작가들의 커리어 등을 중점으로 서류 전형을 거쳤다. 1차까지 작가 5명을 최종 선발했다.
이 가운데 8월 말 2차 심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제작할 작가를 선정하고, 동상 모형을 만들 예정이다. 대구도서관에 세울 동상의 경우 도서관 건립이 늦어지면서 오는 10월 다시 2차 심사를 진행한다.
오은택 대구시 도로과 과장은 "상징성을 부여하는 차원에서 미리 표지판을 세우는 것"이라며 "다른 정치적인 의미는 없다"고 밝혔다. 변순미 행정과 과장도 "박정희 전 대통령의 산업화 정신을 기리기 위한 것"이라며 "동상 건립과 함게 이렇게 새롭게 불러보자고 시민들에게 제안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대구시의 박정희 동상 건립은 올해 초 홍준표 시장이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광주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 상징물이 있는데, 대구에는 박정희 정신을 기릴 상징물이 없다며 대구 2곳에 동상을 건립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어 동상 건립을 위한 근거인 조례도 발의했다. "독재자 우상화"라며 시민사회와 피해자 유족들이 거세게 반발했지만, 대구시의회는 조례를 통과시켰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