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동상 건립 등 '박정희 전 대통령 기념사업 조례'가 대구시의회에 상정되자, 지역 시민단체들이 천막농성과 1만인 서명 등 본격적인 반대 운동에 나섰다.
'박정희우상화사업반대 범시민운동본부(준)'는 22일 대구시의회앞 주차장에 천막농성장을 설치하고 '박정희 기념사업 반대' 농성에 들어갔다. 천막농성장에는 "독립운동과 민주화운동의 중심지인 대구에 박정희 동상을 위한 자리는 없다"는 문구가 적혔다. '대구광역시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가 상정된 이날부터 임시회가 끝나는 오는 5월 2일까지 농성을 이어간다.
이들은 박정희 동상 반대 릴레이 1인 시위를 포함해 대구시의원들에게 조례 부결 촉구 메일과 문자 보내기, 조례 부결 촉구 시민대회, 조례 반대 1만인 서명운동(→서명운동 온라인 링크), 모금운동, 거리 현수막 게시 등의 반대 운동을 벌일 계획이다. 반대 운동에도 불구하고 조례를 제정할 경우, 10만인 서명운동과 법적, 행정적 대응도 예고했다.
운동본부는 이날 오전 대구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정희는 일본군 장교로 일제에 부역하고, 1965년 한일협정으로 식민통치에 면죄부를 준 인물"이라며 "5.16군사쿠데타로 4.19혁명을 짓밟고, 3선개헌으로 대통령이 되어 국회를 해산하고, 대통령 직선제와 지방자치제를 폐지, 양심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를 말살하고 국민 기본권을 억압한 폭군으로 기념할 인물이 아닌 역사의 죄인"이라고 규탄했다.
또 "지방자치제를 폐지한 인물이 박 전 대통령인데 그 인물을 기리는 기념조례를 지방의회가 제정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독재자의 공원과 동상을 세우고 자라나는 세대에게 인권과 정의를 가르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정희 고향은 경북 구미"라며 "이미 구미시에 기념관이 있는데 대구에 왜 동상과 공원을 세우는 것이냐"고 비판했다. 때문에 "대구시민의 세금을 박정희 광장에 사용해선 안된다"고 요구했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를 발의한 홍준표 대구시장을 향해선 "홍 시장 1년 8개월 동안 대구시정은 거대한 퇴행과 폭주의 물결이 넘실댄다"면서 "특히 대구의 첫 관문이 동대구역에 친일파 독재화신 박정희 동상이 서 있는 모습을 상상만 해도 낯이 뜨겁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역사의 무덤을 파묘하여 망령을 불러내는 것은 대구 미래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어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를 이날 임시회에 상정한 대구시의회에 대해 "조례가 의결되지도 않았는데 예산부터 편성한 전례 없는 의회 무시에 대해 대구시의회가 입법권과 예산 심의권을 가진 견제 기관으로서 대구시에 대해 브레이크를 걸어야 한다"며 "민생예산을 줄여놓고 14억 5,000만원 대구시 예산을 박정희 동상에 낭비하지 말고 반드시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를 부결시켜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장지혁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 운영위원장은 "지방의회를 폐지한 박정희를 기념하는 조례를 대구시의회가 제정하려하는 것은 치욕적"이라고 규탄했다. 이길우 민주노총대구지역본부장은 "자신의 목적 달성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동료를 죽이고 시민을 학살한 1인자가 박정희"라며 "독재자 우상화를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엄창옥 '민주평등사회를 위한 대구경북 교수연구자연대회' 소속 경북대 명예교수는 "박정희는 박물관에서 공과를 평가받을 유물이지, 교육도시 대구의 얼굴인 동대구역 광장에 동상을 세울 인물이 결단코 아니지 않냐"며 "독재자 친일파 우상화는 지금 시대에 있을 수 없다. 역사적 퇴행이다. 그렇다면 그 동상에 그의 친일 행적비, 공산당 행적비도 함께 세우라. 동상을 강요하는 홍 시장은 즉각 독재적 행각을 멈추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우 전 청와대(노무현 정부) 정책실장은 "역사를 제대로 알면 결코 숭배 할 수 없는 존재가 박정희"라며 "공론화 없이 동상을 세우려는 홍 시장의 불통행정은 반드시 심판 받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