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73)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선출됐다.
국민의힘은 3일 오후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전당대회를 열고 3차 경선 결과를 발표했다.
김 후보는 당원투표와 여론조사에서 24만6,519표를 얻었다. 여론조사에서도 51.81%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최종 합산 45만표를 넘겨 종합 득표율 56.53%로, 43.47%를 얻은 한동훈(52) 전 국민의힘 대표를 꺾고 6.3 대선 최종 국민의힘 후보로 뽑혔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김 후보가, 탄핵에 찬성한 한 후보를 이긴 셈이다.
'반탄' 김문수 56.53% , '찬탄' 한동훈 꺽어..."자유대한민국 지키고 대선 승리"
선출 직후 김 후보는 수락 연설에서 "대통령(윤석열)이 탄핵돼 민주주의가 위기를 맞고 있다"며 "자유 대한민국과 경제·민생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화합하고 소통해 대선에서 기필코 승리하겠다"고 밝혔다.
'운동권'과 '노동자' 등 과거 자신의 이력을 내세웠다. 김 후보는 "39년 전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하며 최루탄을 맞으며 싸웠다"면서 "가난한 이웃을 위해 헌신하고자 운동권이 되어 대학에서 제적당하고 7년을 노동자로 살았다. 영원히 노동자로 살기 위해 자격증 8개를 취득해 구로공단에서 일했다"고 설명했다.
공직자로서의 삶도 언급했다. 그는 "세 번의 국회의원과 두 번의 경기도지사에 선출된 이후 고용노동부 장관을 역임했다"면서 "어느 순간에도 가장 낮은 곳, 약한 사람들을 떠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김문수 "이재명 막을 어떤 세력과도 연대...국힘, 기득권 아닌 국민의 정당으로 환골탈태"
더불어민주당을 향한 비판의 말도 쏟아냈다. 김 후보는 "민주당은 무차별 줄탄핵으로 헌법에 어긋나는 악법을 만들고, 예산을 삭감해 정부를 마비시켰다"며 "방탄국회가 국회독재를 쳘치고 있다"고 했다.
상대방인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를 향해서는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을 대법원이 바로잡자 재판을 못하도록 중단시키는 법까지 만들겠다고 한다"며 "끔찍하다. 이미 독재자가 아니냐"고 비난했다. 때문에 "이재명 세력의 집권을 막기 위해서라면 어떤 세력과도 강력한 연대를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당을 향해서는 "우리 국민의힘이 대선에 승리하려면 환골탈태, 다시 태어나야 한다"면서 "최대한 당을 신속하게 혁신하고 후보와 당이 하나가 될 수 있도록 당 조직을 정비하겠다. 국민의힘은 기득권 정당이 아닌 국민의 정당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덧붙였다.
'개헌' 포부도 밝혔다. 김 후보는 "1987년 체제를 바꾸는 개헌을 추진하겠다"며 "정치와 사법, 선거제도를 개혁하고, 감사원이 선관위를 감사하고, 사전투표제도·국회의원 불체포 특권을 폐지하겠다"고 공약했다.
노동운동가→보수정당 3선 국회의원→재선 경기도지사→고용노동부 장관
김문수 후보는 1951년 경북 영천에서 태어났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에 입학했다. 이후 박정희 유신 독재 정권에 맞서 전국 대학생 시위를 펼쳤다. 1974년 민청학련 사건 등에 연루돼 대학에서 제적당했다. 노동 현장에 뛰어들어 위장 취업을 하고 한일도로코노조 위원장을 지내며 노동운동가로 지냈다. 그러다 1990년대 이후 삶의 궤적이 정반대로 바뀌었다.
1994년 당시 김영삼 대통령의 권유로 보수 정당인 민주자유당에 입당했다. 1996년 신한국당 소속으로 제15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후 보수정당에서 내리 3선 국회의원 배지를 달았다. 2006년 경기도지사에 당선돼 연임에 성공했다. 박근혜 탄핵 정국 이후인 지난 2020년에는 자유한국당을 탈당해 이른바 '태극기 부대'를 이끈 전광훈 목사와 광화문 집회에 오르며 정치적으로 '극우'로 분류되기도 했다. 그러다 다시 국민의힘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지난 2024년 윤석열 정부에서 마지막 고용노동부 장관을 역임했다. 윤 대통령의 12.3 불법 비상계엄 사태 이후에는 줄곧 윤 대통령 "탄핵 반대"를 주장해왔다.
여러 행동과 발언으로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김 후보는 ◇2020년 당시 코로나19 집합금지명령을 어기고 예배에 참석해 '감영병예방법 위반'으로 유죄(벌금 250만원)를 선고 받았다. ◇지난 2019년에는 극우보수단체 회원들과 국회에 난입한 사건으로 '퇴거 불응, 집시법 위반'으로 벌금 300만원을 선고 받았다. ◇ 2002년에는 16대 총선 전 '폭행치상죄'로 유죄 판결을 받아 벌금 30만원을 선고 받았다. 1987년 민주화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얻은 전과(국가보안법, 집시법 위반 등으로 징역 3년에 자격정지 3년)를 제외하면 모두 3개의 범죄 기록을 갖고 있다. 경기지사 시절 산불이 났음에도 소방헬기를 타고 지역 행사에 참석하거나, 소방관에게 전화해 '도지삽니다'라고 말하며 관등성명을 수차례 요구해 '갑질' 논란을 빚기도 했다. 최근에는 국회 대정부질문에 참석해 독립운동가인 김구 선생에 대한 국적을 묻는 야당 의원 질문에 "김구 선생은 중국 국적을 가졌다는 이야기도 있다"고 말해 당 안팎으로 비판을 샀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