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진흙 속 치아·잔뼈, 처참한 '민간인 학살'...'경산 코발트광산' 마지막 유해 수습 현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길이 100여m 어둡고 좁은 갱도를 따라 들어간다.

영상 30도를 웃도는 한여름인데도 한기가 가득하다.

안전모를 쓰고 허리도 펴기 힘든 곳을 리어카를 끌고 한참 들어가니 수천개 포대자루가 한가득 쌓였다. 

1950년 한국전쟁 전후 국군과 경찰에 의해 희생된 민간인 집단 학살 피해자들 유해다.

74년 세월 동안 갱도 속에 갇혀 빛 한번 보지 못했다.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집단 학살이 발생한 경북 경산시 코발트광산. 갱도 안에 희생자들의 유해를 담은 수천포대 포대자루가 쌓여 있다. 마지막 유해 수습을 위해 리어카에 포대자루를 하나씩 싣고 있다.(2024.6.1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집단 학살이 발생한 경북 경산시 코발트광산. 갱도 안에 희생자들의 유해를 담은 수천포대 포대자루가 쌓여 있다. 마지막 유해 수습을 위해 리어카에 포대자루를 하나씩 싣고 있다.(2024.6.1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한낮에도 어두운 갱도에 남겨진 수천개 포대자루 안에는 진흙과 모래 등이 담겨 있다. 흙더미 안에 사람 잔뼈들이 포함돼 있다.(2024.6.1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한낮에도 어두운 갱도에 남겨진 수천개 포대자루 안에는 진흙과 모래 등이 담겨 있다. 흙더미 안에 사람 잔뼈들이 포함돼 있다.(2024.6.1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갱도 더 안쪽에는 깊이 40여m 수직갱도가 보인다.

포대자루 속 유해는 모두 이 수직갱도에서 수습한 희생자들이다. 현재 수직갱도는 물이 고여 우물처럼 보인다.

수직갱도 위에는 진실화해위원장이 헌화한 조화가 놓였다.   

작업자들은 하나씩 수레에 실어 나른다. 오전 8시쯤부터 시작된 작업은 오후 4시까지 이어졌다.

갱도 밖을 빠져나온 포대자루들. 유해들은 70여년 만에 갱도를 빠져나와 밝은 빛에 놓였다. 유가족회의 나정태 회장과 박무석 사무국장이 이를 지켜보고 있다. 

수평2굴 어두컴컴한 갱도 끝에 도달하면 유해를 꺼냈던 깊이 40여m의 수직갱도가 보인다. 지금은 물이 가득차 우물처럼 변했다. 그 위로 정근식 전 진실화해위원회 위원장의 조화가 놓여져 있다.(2024.6.18)/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수평2굴 어두컴컴한 갱도 끝에 도달하면 유해를 꺼냈던 깊이 40여m의 수직갱도가 보인다. 지금은 물이 가득차 우물처럼 변했다. 그 위로 정근식 전 진실화해위원회 위원장의 조화가 놓여져 있다.(2024.6.18)/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한여름에도 몸이 떨리는 한기가 서린 수평갱도 안. 허리를 숙여 어둡고 좁은 길을 100m 남짓 들어가면 수직굴이 보인다. 이 곳에서 70여년전 3,500여명의 민간인들이 군경에 의해 집단 학살됐다.(2024.6.1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한여름에도 몸이 떨리는 한기가 서린 수평갱도 안. 허리를 숙여 어둡고 좁은 길을 100m 남짓 들어가면 수직굴이 보인다. 이 곳에서 70여년전 3,500여명의 민간인들이 군경에 의해 집단 학살됐다.(2024.6.1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경북 경산 코발트광산에서 지난해에 이어 민간인 학살 희생자 마지막 유해 수습이 시작됐다.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위원장 김광동)'는 지난 17일부터 18일까지 이틀째 희생자 2차 유해 수습 작업을 펼치고 있다.

수평2굴에 남겨진 유해 3,000포대를 모두 갱도 밖으로 꺼내는 중이다. 이틀간 1,300여 포대를 굴 밖으로 꺼냈다. 

아침 8시 30분부터 갱도 안에서 유해가 담긴 포대자루를 리어카에 실어 나르는 작업을 하고 있다.(2024.6.1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아침 8시 30분부터 갱도 안에서 유해가 담긴 포대자루를 리어카에 실어 나르는 작업을 하고 있다.(2024.6.1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포대자루는 모두 풀어 작업대에 올려 놓고 작업자들이 일일이 유해 분류 작업을 한다. 고무망치와 솔 등을 이용해 단단하게 뭉친 진흙과 모래 속에서 유해를 분류한다. 

이날도 사람 어금니로 보이는 치아와 잔뼈 등 수십점이 발견됐다. 누구인지 알 수 없지만 70여년 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는 희망을 발견한 셈이다. 마지막 한명까지, 작은 뼛조각이라도 찾기 위한 작업은 계속됐다. 

유해 수습 작업은 지난해 1차 수습 사업과 마찬가지로 '한빛문화재연구원'이 맡고 있다. 

70여년간 캄캄한 갱도 안에 잠들어 있다가 동굴 밖으로 나와 빛을 보는 유해들. 포대자루 수백개를 차례대로 쌓고 있다.(2024.6.1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70여년간 캄캄한 갱도 안에 잠들어 있다가 동굴 밖으로 나와 빛을 보는 유해들. 포대자루 수백개를 차례대로 쌓고 있다.(2024.6.1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진화위는 지난해 3월부터 석달 가까이 수평2굴에서 포대자루 1천여개를 꺼냈다. 신원미상의 뼛조각 1,300여점을 찾았다. 탄피를 비롯해 단추와 버클 등 유품도 발견했다. 

지난해 미처 다 수습하지 못한 포대자루들을 모조리 갱도 밖으로 꺼내는 게 이번 2차 작업 내용이다. 유해 수습과 분류 작업은 7~8월이 돼야 마무리된다.

장정민 한빛문화재단 조사실장은 "흙더미에서 유해나 유품을 발견해 따로 분류하는 작업 중"이라며 "굴 밖으로 일단 포대들을 모두 꺼낸 뒤 일일이 풀어서 사람 손으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생각보다 많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포대자루를 하나씩 풀어 작업대에 올려놓고 고무망치와 솔로 조심스럽게 뼈를 찾는 작업을 하고 있다.(2024.6.1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포대자루를 하나씩 풀어 작업대에 올려놓고 고무망치와 솔로 조심스럽게 뼈를 찾는 작업을 하고 있다.(2024.6.1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사람 어금니로 보이는 치아들과 잔뼈 십점이 이날 포대자루 안에서 우수수 발견됐다.(2024.6.1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사람 어금니로 보이는 치아들과 잔뼈 십점이 이날 포대자루 안에서 우수수 발견됐다.(2024.6.1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이곳에서 나온 뼛조각 등은 앞서 발견된 다른 유해들과 같이 모두 세종특별시에 있는 '추모의 집'에 안치될 예정이다. 뼈의 형태가 너무 작고 온전하지 않아 유전자 감식은 따로 하지 않는다. 

다만 지난 2007년~2009년 수직갱도에서 가장 먼저 발견한 온전한 유해 429구에 대해서는 코발트광산 유족들이 정부에 유전자 검사를 요구할 방침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 4.3' 관련 희생자들이 경산 코발트광산에도 끌려와 묻혔다고 보고, 코발트 시신 400여구 중 40구에 대해 유전자 감식 작업에 들어갔다. 이곳에서 유전자가 나올 경우 4.3 유가족들의 DNA 샘플과 맞춰볼 계획이다. 

'(사)한국전쟁전후 경산코발트광산 민간인희생자유족회'도 이 온전한 시신들에 대해서는 유전자 대조를 할 수 있게 해달라고 국가에 지원을 요청하기로 했다. 

"혹시 우리 아버지일까 싶어서, 이 뼛조각 하나 하나가 다 소중하다"...마지막 유해 수습 현장에서 나정태 경산코발트광산유족회장이 취지와 의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2024.6.1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혹시 우리 아버지일까 싶어서, 이 뼛조각 하나 하나가 다 소중하다"...마지막 유해 수습 현장에서 나정태 경산코발트광산유족회장이 취지와 의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2024.6.1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나정태(78) 경산코발트광산유족회장은 "보도연맹으로 억울하게 죽은 우리 아버지들 명예를 회복하고, 아버지 뼈 한조각이라도 찾아야 자식들이 눈을 감지 않겠냐"며 "혹시 우리 아버지일까 싶어서 뼛조각 하나 하나가 다 소중하다. 부디 안전하게 2차 작업이 마무리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는 7월 진화위 유가족 회의에 참석해 온전한 시신들에 대해서는 유가족들(경산 코발트광산)과 유전자를 맞춰볼 수 있게 국가가 지원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요구할 것"이라며 "그것이 국가 폭력에 희생된 우리 아버지들에 대한 진정한 추모"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