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청 앞에 100일상이 차려졌다. 홍준표 대구시장의 취임 100일을 축하하는 상이다.
축하상에 오른 내용들은 심상치 않다. '역주행 100일', '취약계층 시민안전 보건복지 사회공공성 포기선언', '일방적 사업추진 불통정치', '환경파괴 철지난 토건사업 금호강 르네상스', '사회혁신 정책 후퇴 퇴행 제2대구의료원 중단, 대구시청사 이전 백지화, 기후위기 대응 전무' 등이다.
홍 시장의 지난 100일 시정에 대해 지역 시민사회단체가 규탄하는 내용들로 100일 상이 꽉찼다.
![]() | ||||||||
▲ 홍준표 대구시장 '100일 불통왕' 피켓(2022.10.11)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 ||||||||
지역의 40여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인 '대구지역상설연대단체 연석회의'는 11일 대구시청 동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홍준표 대구시장의 취임 100일은 막 가자는 역주행 100일이었다"며 "인권과 민주주의 후퇴, 사회혁신 정책 퇴행, 일방통행 불통행정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연석회의는 "지방선거에서 78.8% 지지율로 당선된 홍 시장은 시민 기대와 달리 파워풀한 역주행 대구로 달려가고 있다"며 "민선8기 시정은 독주와 불통, 비민주와 과거회기로 일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홍 시장은 13년 걸린 '취수원협정'을 파기하고 영풍석포제련소 발암성 중금속 오염이 걱정되는 안동댐물 사용을 추진하는가 하면 권영진 전 시장이 약속한 제2대구의료원도 백지화했다"고 했다.
이어 "시민 의견을 수렴해 결정한 '컬러풀대구' 시정슬로건을 일방적으로 '파워풀대구'로 바꾸고 대구시청사 건립 계획도 일방적으로 바꿨다"면서 "공공기관 통폐합과 기금폐지 조례를 대구시의회 발의로 처리한 것은 의회마저 들러리로 전락시키는 것으로 대구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구시청사는 허락받지 않으면 들어갈 수 없고, 동인청사 앞에는 헌법에 보장된 집회결사자유마저 위협하는 시위통제선이 생겼다"며 "역사성과 맥락을 무시하고 불도저처럼 밀어붙이는 시정"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인권행정의 기본인 대구인권보장증진위원회와 차별금지인권증진위원회를 폐지했다"면서 "민주적 절차와 소통이 중요한데 어느새 왕이 되어 있는 모양새"라고 규탄했다.
또 "토건 삽질이라는 70년대 개발주의 논리에 사로잡혀 금호강 르네상스 사업을 하고, 팔공산 비슬산 케이블가 사업을 밀어붙이고 있다"면서 "대구를 어두운 개발주의 시대로 밀어넣으려하는 것은 지역의 모든 생태 자산을 망치는 행위로 시민들의 엄청난 저항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 | ||||||||
▲ 대구시청 로고와 '시위통제선' 밖 기자회견(2022.10.11.동인청사 앞)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 ||||||||
때문에 연석회의는 "환경, 노동, 인권, 보건복지, 사회공공성, 장애인 등 전분야에 걸쳐서 역주행 하는 홍 시장의 100일에 대해 크게 우려한다"며 "홍 시장은 지금이라도 시민들과 소통하며 제대로된 정책을 수립하고 예산을 확보해 인권행정과 사회공공성을 강화하는 시정을 펼쳐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연석회의는 이 같은 입장을 대구시에 전달하고, 오는 18일 공동 대응을 위한 간담회를 연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