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 월성원전 인근 주민 암 발생률이 '전국 평균보다 낮다'는 환경부 조사에 대해, 민간위원들은 오히려 '전국 평균보다 13% 높았다'며 환경부 주장을 정면 반박했다.
'월성원전 주변 주민 건강영향조사 민관협의회' 위원 3인(주민 박희순씨, 이재걸씨, 시민단체 이상홍 경주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지난 26일 경주 한 카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건강영향조사 결과 월성원전 주변, 반경 10km이 주민 암 발생 증가와 건강 위험 요인이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앞서 8일 환경부가 같은 건강영향조사와 관련해 주민설명회를 열고 발표한 최종보고서와 배치되는 내용이다. 같은 조사를 놓고 완전히 다른 결론, 다른 해석을 하고 있는 셈이다.
환경부는 당시 보도자료를 통해 "월성원전 인근 3개 읍·면의 표준화 암 발생비 분석 결과, 전국 대비 모든 암은 남성(12%), 여성(18%)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민관협의회에 참석한 위원 3명은 환경부 분석을 반박했다. 이들은 "'암 발생이 낮다'는 환경부의 잘못된 보도자료에 근거한 기사들은 명백한 오보"라고 주장했다.
특히 "환경부가 통계 근거로 삼은 3개 읍·면(양남면·문무대왕면·감포읍)은 반경 20km로 주변이 아니다"며 "최대 반경 10km 인구 집단을 원전 주변으로 설정해야 조사 목적에 부합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연구팀은 통계에 전국 평균을 적용 않고 인근 지역(반경 20km와 영덕군) 평균을 적용해 '발생률이 낮다'는 결론을 냈다"면서 "원전 주변 암 발생을 전국과 비교 못하게 왜곡했다"고 했다.
또 ▲"월성원전 주변 암 발생률은 전국 평균보다 13% 높았다"며 "특히 반경 20km 이내, 영덕군의 암 발생률과 비교하면 월성원전 주변의 평균 암 발생률은 31%나 높았다"고 했다.
▲체내 삼중수소 농도가 높을수록 임상수치가 후퇴하는 결과도 내놨다. "삼중수소 농도가 100Bq/L 이상 주민은 모든 임상 수치가 최고 또는 최저로 삼중소소 임상 영향을 보여줬다"고 덧붙였다.
이어 ▲"소변 요오드 경우 기준치 3배를 나타냈다"면서 "이는 갑상선 질환 발생률을 7배 높이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했다. 또 ▲"반경 5km 주민 34명 염색체 조사에서 16명947.1%)이 평생 250mGy(밀리그레이) 이상 피폭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그러면서 "환경부도 최종보고서에서 주민 34명 중 대조군으로 포함된 삼중수소 미검출 6명 중 3명 염색체에서 같은 양이 피폭됐다고 했다"며 "그런데도 '피폭과 염색체 이상은 관련 없다'는 잘못된 결론을 내렸다"고 지적했다.
최종보고서에는 ▲주민 62.9%가 '중증 불안, 우울 스트레스를 호소한다'는 결과도 담고 있다. 때문에 주민 31.4%는 "개별 이주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반면 "반대" 20.6%로 찬성보다 10% 적었다.
3인 위원은 "월성원전에 가까울수록, 오래 살수록, 집에 오래 머물수록 체내 삼중수소 수치는 높고 건강에 나쁜 영향을 받는 것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때문에 "환경부는 '암 발생이 전국 평균보다 낮다'는 입장을 철회하고, 주민들의 건강 대책과 적극적인 개별 이주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