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녹조 위 뱃놀이 '낙동강레포츠밸리' 6년 만에 잠정 폐쇄...대구 달성군 "조류 독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마다 심각한 녹조에도 수상레저 활동
매년 적자, '조류경보제 시범구간' 포함
작년 폭우 1년째 운영 중단...이전 검토
최재훈 "녹조 해결 때까지 재개장 안해"
민주당 "이용객 안전, 환경 위한 결정" 

강물 위 모터보트와 수상스키 등 '뱃놀이'로 대구 달성군의 대표 수상관광자원이 된 '낙동강레포츠밸리'가 운영 6년 만에 사실상 잠정 폐쇄된다. 

4대강사업 달성보 건설 이후 낙동강 일대에 심각한 녹조가 발생하자 수상레저 활동이 위험하다고 판단한 결과다. 매년 쌓이는 적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 달성군에 28일 확인한 결과, 최재훈(42.국민의힘) 달성군수는 지난 26일 달성군의회 본회의에 참석해 이 같은 뜻을 밝혔다. 

달성쾌속선을 운항하는 대구 달성군 사문진 나루터 이 일대의 강물을 담으니 '녹조라떼'가 만들어졌다.(2015.8.1) / 사진.평화뉴스 박성하 기자
달성쾌속선을 운항하는 대구 달성군 사문진 나루터 이 일대의 강물을 담으니 '녹조라떼'가 만들어졌다.(2015.8.1) / 사진.평화뉴스 박성하 기자

본회의장에서 더불어민주당 양은숙 달성군의원은 최 군수를 향해 "낙동강레포츠밸리 시설의 녹조 위험성"을 지적하며 "폐쇄에 대한 입장이 궁금하다"고 질의했다. 

최 군수는 "개인적 소견으로 낙동강에서 수상레포츠를 즐긴다는 것이 잘 이해가 되지 않았다"며 "민선 8기를 시작하며 레포츠밸리를 이전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시설물이 일부 파괴되고 이후 운영을 중단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면서 "조류 문제가 완벽하게 해결되지 않은 이상 적자까지 나는데 이 시설을 유지 관리해야 하나 의문이 있다"고 말했다. 

최재훈 대구 달성군수가 본회의장에서 낙동강레포츠밸리에 대해 답변 중이다.(2024.6.26) / 사진.달성군의회  
최재훈 대구 달성군수가 본회의장에서 낙동강레포츠밸리에 대해 답변 중이다.(2024.6.26) / 사진.달성군의회  
더불어민주당 소속 양은숙 달성군의원이 최 군수에게 레포츠밸리에 대해 질의 중이다.(2024.6.26) / 사진.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 
더불어민주당 소속 양은숙 달성군의원이 최 군수에게 레포츠밸리에 대해 질의 중이다.(2024.6.26) / 사진.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 

그러면서 "달창저수지나 송해공원 옥연지로 이전안을 검토해, 낙동강에서 운영하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라며 "현재로서는 예산도 편성하지 않았다. 내부에서 폐쇄안까지도 검토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낙동강레포츠밸리'는 지난 2017년 김문오 군수 시절 개장한 수상레저시설이다. 16여 종의 다양한 수상레저기구를 보유하고 수상레포츠를 체험할 수 있다. 

하지만 매년 피는 녹조를 인해 환경단체와 마찰을 빚었다. 대구환경운동연합은 "녹조에 든 조류 독성 마이크로스시틴은 사람 인체에 매우 위험하다"며 "녹조 핀 낙동강에서 벌이는 위험한 낙동강레포츠밸리를 즉각 폐쇄하라"고 촉구해 왔다. 

사문진교 인근 낙동강을 따라 운항중인 유람선과 쾌속선(2015.8.1) / 사진.평화뉴스 박성하 기자
사문진교 인근 낙동강을 따라 운항중인 유람선과 쾌속선(2015.8.1) / 사진.평화뉴스 박성하 기자
녹조로 인해 초록색 강이 된 사문진교 일대의 낙동강(2015.8.1) / 사진.평화뉴스 박성하 기자
녹조로 인해 초록색 강이 된 사문진교 일대의 낙동강(2015.8.1) / 사진.평화뉴스 박성하 기자

이 가운데 지난해 7월 15일 폭우로 인해 달성보가 방류되자 달성군은 레포츠밸리 운영을 중단시켰다. 이후 1년째 운영을 재개하지 않고 있다. 레포츠밸리의 사업성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달성군시설관리공단에 확인한 결과, 낙동강레포츠밸리의 지난 2023년 수입은 4억900만원이고 지출은 8억4,500만원이다. 수지비율은 48.5%에 불과했다. 

게다가 환경부는 최근 인파가 몰려 조류 독소 접촉 위험이 있는 친수활동구간에 대해 '조류경보제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낙동강레포츠밸리 구간은 이 시범사업에 포함됐다. 조류경보가 발령하면 오염원을 제거하고, 수상활동을 금지시켜야 한다.  

환경적 요인과 사업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최 군수가 사실상 잠정 폐쇄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양은숙 달성군의원은 28일 보도자료를 내고 "그 동안 낙동강에서 발생하는 녹조와 수자원 환경 문제로 인해 환경단체는 낙동강레포츠밸리 시설에 대해 꾸준히 폐쇄를 요구해왔다"며 "녹조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잠정 폐쇄한다는 최 군수의 약속에 대해 환영의 입장을 밝힌다"고 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