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구역 광장, 대구도서관 앞, 경북도청 앞, 보문관광단지 안, 칠곡 다부동 전적기념관 마당.
고(故) 박정희, 고(故) 이승만 두 전직 대통령 동상이 대구경북지역 곳곳에 들어서거나 들어설 예정이다.
민주주의 절차를 어기고 인권을 탄압하며 장기 집권한 대통령들. 시민사회는 "독재자 우상화"라며 동상 건립에 반대했지만, 대구시와 경상북도는 "행정적, 법적 문제는 없다"며 동상 건립을 강행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지자체들이 세금 수십억씩 들여 동상을 세우는 게 힘들어질 수도 있다.
국가기관과 지자체 등 공공기관 차원에서 박정희와 이승만 동상을 건립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는 '독재자 기념사업 금지법'이 일부 야당 국회의원들에 의해 추진된다.
'박정희우상화사업반대범시민운동본부'는 "범야권 정치권과 '독재자 기념사업 금지 법제화' 등을 검토하기로 했다"고 24일 밝혔다. 운동본부 대표단은 지난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조국혁신당 차규근, 진보당 정혜경 국회의원을 만나 지자체들의 독재자 우상화 기념사업에 대해 우려의 입장을 전했다.
야3당의 국회의원들 역시 지자체들의 기념사업 조례에 문제가 있다는데 동의하고 대응책을 마련하는데 뜻을 모았다. 이를 위해 공식 성명을 내고, 관련 주제로 국회 토론회를 열고, '독재자 기념사업 금지법' 제정을 검토하기로 했다. 구체적인 법안 내용은 아직 정해진 바 없다.
이와 관련해 차규근 의원은 지난 23일 의원총회에서 "4.19혁명의 민주주의를 쿠데타로 짓밟은 박정희 동상을 동대구역 광장에 지어선 안된다"며 "차리리 대구 출신 고(故) 김광석 가수의 자그만한 동상을 동대구역 광장에 설치해 대구를 문화와 통합의 도시로 만드는게 시민 친화 행정"이라고 발언했다.
임미애 의원도 지난 18일 논평을 내고 "죽은 사람을 살려 그 이름에 기대어 정치 생명을 이어가려는 홍준표 시장을 보니 구리다 못해 한참 구리다"면서 "동상 정치는 폭력이다. 다수의 대중에게 무차별적 숭배와 경건함을 강요하는 것은 폭력적인 동상 정치"라고 비판했다.
앞서 대구시(시장 홍준표)와 경상북도(도지사 이철우)는 각각 시.도의회와 손발을 맞춰 전직 대통령을 기념할 수 있는 조례를 만들고, 이를 근거로 세금을 들여 동상을 건립하거나 기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대구시는 지난 5월 '대구광역시 박정희 대통령 기념사업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올해 하반기를 목표로 동대구역 광장과 대구도서관(미군기지 반환부지) 광장 2곳에 예산 14억5,000만원을 들여 3m, 6m 박정희 동상을 건립한다. 경북도는 11월 14일 박 전 대통령 생일에 맞춰 안동 도청 앞 천년숲정원에 높이 10m 박정희 동상을 세운다. 예산 10억원은 시민 모금으로 충당한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난 2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그 동안 정치적 논란으로 주춤거리며 시행 못한 박정희 산업화 정신 사업은 지금 잘 추진되고 있다"며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도 통과되었고, 박정희 공원·박정희 광장·박정희 동상 건립 사업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반대 여론에 대해선 "박정희 산업화 정신은 대구의 3대 정신(국채보상운동 구국정신, 2.28 자유정신)"이라며 "정치적 논란을 떠나서 대구가 해야할 최소한 기념사업으로 3대 정신을 완성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