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이후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11%까지 떨어졌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윤 대통령의 최대 지지기반으로 꼽히는 대구경북(TK)도 16%로 내려앉았다. 특히 국민 10명 중 7명은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가 ‘반(反)국가적 내란행위’라고 여기며 '탄핵'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일보가 9일 발표한 여론조사(한국갤럽/ 12.6~7일/ 전국 18세이상 남녀 1,014명) 결과, 윤 대통령이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는 의견은 11%에 그친 반면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86%였다. '어느 쪽도 아니다'는 답변은 1%, '모름·응답거절'은 2%였다.
한국갤럽의 12월 1주(12.3~5일) 조사와 비교하면 16%→11%로 5%P 하락했다. 반면 부정 응답률은 75%→86%로 11%P 올랐다. 국민일보는 "비상계엄 사태 파장이 계속되면서 지지율 추락이 가속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보도했다.
지역별로 보면, 광주·전라 지역이 2%로 가장 낮았고, TK 지역이 16%로 가장 높았다. 서울과 인천·경기, 강원은 각 11%였다. 연령별로는 60대(17%)와 70대 이상(27%)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지지율이 10% 아래 한자릿수로 떨어졌다.
국민일보의 이 조사에서 10명 중 7명은 '내란행위', '탄핵찬성'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국회의 권한 제한을 시도한 반국가적 내란행위'라는 견해에 대해 응답자의 63%가 '매우 공감한다'고 답했다. '어느 정도 공감한다'는 응답까지 포함하면 71%에 이른다. 반면 이 주장에 '전혀 공감하지 않는다', '별로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4%에 그쳤다.
또 응답자의 74%가 윤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탄핵에 '반대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23%였고, '모름·응답거절'은 3%였다. 지역별로 보면, 광주·전라 지역이 93%로 '탄핵' 여론이 가장 높았고, 대구경북은 54%로 가장 낮았다. 부산·울산·경남(PK)은 69%였고 그 외 지역은 전부 70%의 찬성률을 기록했다.
윤 대통령의 지지율 폭락은 다른 조사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리얼미터가 9일 발표한 12월 1주 조사(12.5~6.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012명) 결과, 윤 대통령 긍정평가는 17.3%, 부정평가는 79.2%, '잘모름'은 3.5%였다. 지난주 조사와 비교해 긍정평가는 25.0%→17.3%로 8.2%P 하락했고 부정평가는 69.8%→80.8%로 8.2%P 상승했다. 대구경북은 27.9%로 지난주 대비 7.9%P(35.8%→27.9%) 떨어졌다. 다른 모든 지역은 윤 대통령 지지율이 10%대 초중반으로 내려앉았고 부정평가는 70~80%대로 치솟았다.
앞서 한국갤럽이 지난 6일 발표한 12월 1주 조사(12.3~5. 전국 만18세 이상 1,001명)에서도 윤 대통령 긍정평가는 16%, 부정평가는 75%, 의견 유보 9%로 나타났다. 지난주 대비 긍정평가는 19%→16%로 하락했고 부정평가는 72%→75%로 상승했다.
특히 윤 대통령 지지율은 '비상계엄' 사태 전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사태 전인 3일은 긍정평가 19%와 부정평가 68%였으나 사태 후 이틀(4~5일) 기준으로 보면 13%:80%로 급변했다. 한국갤럽은 "국정농단 사태 초기인 2016년 10월 4주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 전후 양상과 흡사하다"고 밝혔다. 당시 긍정평가는 17%였는데, 박 대통령 사과 전 23%→사과 후에는 14%로 떨어졌다.
[조사 개요]
한국갤럽 = 조사기간: 2024년 12월 3~5일 / 표본추출: 이동통신 3사 제공 무선전화 가상번호 무작위 추출 / 응답방식: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 조사대상: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 / 표본오차: ±3.1%포인트(95% 신뢰수준) / 응답률: 12.0%(총통화 8,344명 중 1,001명 응답 완료) / 의뢰처: 한국갤럽 자체 조사
리얼미터 = 조사기간: 2024년 12월 5일~12월 6일 / 조사대상: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012명 / 조사방법: 무선(97%)·유선(3%) 자동응답 / 표본오차 : ±3.1%P (95% 신뢰수준)
국민일보 = 한국갤럽 의뢰, 실시 / 100% 무선전화 인터뷰 조사 방식 / 여론조사 대상자는 통신사 제공 휴대전화 가상번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하는 방법으로 선정 /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 / 응답률 15.4% /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가중(셀 가중) 적용 /
이들 조사의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