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파업' 45일째. 대구 시민사회가 의료계를 향해 "명분 없는 파업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윤석열 정부를 향해서는 "공공의료를 강화하는 진짜 의료개혁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와 대구경북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우리복지시민연합 등이 모인 '대구경북보건복지단체연대회의'는 3일 오전 국민의힘 대구시당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사들은 명분 없는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진짜 의료개혁에 동참하라"고 촉구했다.
연대회의는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이 두 달이 되어간다"며 "4월부터 상급종합병원 교수들까지 진료시간을 단축하고, 개원 의사들도 파업에 합류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고 밝혔다.
하지만 "가족 중에 아픈 환자가 생기면, 특히 중증일수록 이제는 걱정이 아니라 공포감으로 다가온다"면서 "급기야 며칠 전에는 충북 보은에서 사고를 당한 3세 아이가 상급병원 10곳으로부터 '의사가 없다'는 이유로 전원을 거부당해 결국 숨지는 사건까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윤석열 정부와 의료계가 시민의 생명은 외면한 채 극한 의-정 대립으로 사생결단하는 사이, 정작 환자들의 생명을 살리지 못하는 사태가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 눈에 선하다"고 비판했다.
특히 "전공의 파업 장기화로 교수들의 진료까지 축소돼 병원 의료현장에서는 수술과 검사, 입원, 항암치료 등의 연기 또는 취소, 병동 폐쇄와 축소 운영이 이어지고 있다"며 "의사가 나간 자리에는 간호사들에게 시범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의사 업무를 강요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앞서 1일자 '국민 담화문'에 대해서는 "2,000명 의사를 증원해도 의사들이 더 많은 돈벌이를 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며 "결국 의료 시장화, 의료 민영화 속내를 드러낸 것으로 윤석열 정부의 의료개혁은 민간 주도 시장 논리의 '가짜 의료개혁'"이라고 규탄했다. 특히 "공공의료에 대한 말은 한마디도 없었다"면서 "의사 증원이 어떻게 의료개혁이 될 수 있고, 증원된 인력이 어떻게 지역과 필수의료를 담당할지에 대해서는 어떤 대책도 없다"고 비판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담화문을 통해 "의사들의 소득은 지금보다 절대 줄지 않을 것, 의료산업 발전에 따라 바이오, 신약, 의료 기기 등 의사들을 필요로하는 시장은 엄청나게 커질 것, 의료에 대한 정부의 재정 투자는 더 큰 민간 투자를 이끌 것"이라고 발표했다.
또 "제22대 총선을 일주일 앞둔 이 시점에서 총선 후보들은 의정 갈등 속 의료공백 사태에 대한 민의를 대변하지 못하고 있다"며 "후보들도 정부의 의료개혁이 공공의료를 강화하는 방향이 될 수 있도록 책임있는 목소시를 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윤석열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2,000명 증원 정책에 반발한 전국 전공의들의 집단 진료거부는 지난 2월 19일부터 시작해 4월 3일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