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들어 국민의힘 지지율이 오르고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하락하면서 두 정당 지지율이 비상계엄(2024.12.3) 이전으로 돌아갔다는 여론조사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
한국갤럽 / 국힘 10%p 상승, 민주당 12%p 하락
한국갤럽이 10일 발표한 1월 2주 조사(2025.1.7~9. 전국 만18세 이상 1,000명) 결과, 정당지지율은 국민의힘 34%, 더불어민주당 36%, 조국혁신당 5%, 개혁신당 2%, 진보당, 기본소득당, 이외 정당/단체 각각 1%, 지지하는 정당 없는 무당(無黨)층 19%로 나타났다. 국민의힘과 민주당 지지율 차이는 오차범위 내 2%p 차이로 좁혀졌다.
한국갤럽의 12월 3주 조사와 비교하면, 국민의힘은 10%p(24%→34%) 상승한 반면 민주당은 12%p(48%→36%) 하락했다. 두 정당 지지율 차이도 20%p에서 2%p로 좁혀졌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이전인 11월 4주 조사 당시(국힘 vs 민주당 : 32% vs 33%)와 비슷한 수준이다.
NBS / 국힘·민주 오차범위 내 차이, 계엄 이전 수준
앞서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 4개 조사기관이 1월 9일 발표한 2025년 1월 2주 전국지표조사(NBS, 1.6~8, 전국 만18세 이상 1,000명 조사)의 정당지지율도 ▲'더불어민주당' 36% ▲'국민의힘' 32% ▲'조국혁신당' 7% ▲'개혁신당' 3% ▲'진보당' 1% 등의 순이었고,▲'태도유보'(없다+모름/무응답)는 19%였다.
지난 2024년 12월 3주차 조사 대비 국민의힘 지지도는 6%p 상승(26%→32%)한 반면 민주당 지지도는 3%p(39%→36%) 하락하면서 두 정당 차이는 13%p→4%p로 좁혀졌다. 비상계엄 이전인 11월 3주의 31%(민주당) vs 30%(국힘)와 별 차이가 없다.
리얼미터 / 3주 연속 국힘 상승, 민주당 하락
지난 1월 6일 발표된 리얼미터 조사(1.2~3.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001명)에서도, 민주당이 45.2%로 국민의힘(34.4%)보다 10.8%p 앞섰으나 민주당은 3주 연속 하락한 반면 국민의힘은 3주 연속 상승했다.
비상계엄 직후인 12월 2주 이후 추이를 보면, 민주당은 52.4%(12월 2주)→50.3%(12월 3주)→45.8%(12월 4주)→45.2%(1월 1주)로 떨어졌다. 그러나 국민의힘은 같은 기간 25.7%→29.7%→30.6%→34.4%로 상승세를 보였다. 때문에 현재 두 정당 지지율 차이도 26.7%(12월 2주)→10.8%(1월 1주)로 좁혀졌다.
'내란' 혐의로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이 시도되고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이 본격화된 점을 감안하면 여야 두 정당의 지지율 등락은 의외의 현상으로 꼽힌다.
"진영 대립 첨예...정권교체 위기감, 중도·진보층의 민주당 기대감 약화"
한국갤럽은 이에 대해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후인 지난달 중순 민주당 지지도가 현 정부 출범 이래 최고치를 경신하며 국민의힘과 격차를 벌렸는데, 3주 만에 양대 정당 구도가 12.3 비상계엄 사태 이전으로 되돌아간 모양새"라며 "탄핵안 가결 직후 진보층과 중도층에서 두드러졌던 민주당 지지세가 다소 약해졌다"고 밝혔다.
특히 "그동안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소추안 가결, 국회의 탄핵소추안 내용 변경 관련 공방, 수사권 혼선과 체포영장 집행 불발 등 난항 속에 진영 간 대립이 한층 첨예해졌다"며 "이는 기존 여당 지지층의 정권 교체 위기감을 고취하는 한편, 제1야당에 힘 실었던 중도·진보층의 기대감을 잦아들게 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또 "비상계엄 사태 초기 여당 지지도 낙폭이 크지 않았고, 대통령 탄핵 반대 당론을 시종일관 유지하며 분당 조짐 없었던 점 또한 8년 전 탄핵 정국과 큰 차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 2016년 당시 여당이던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지지도는 그해 4월 총선 직후부터 10월 초까지 29~34%였으나, 국정농단 사태 본격화 후 12%까지 하락했다.
[조사 개요]
한국갤럽 = 조사기간: 2025년 1월 7~9일 / 표본추출: 이동통신 3사 제공 무선전화 가상번호 무작위 추출 / 응답방식: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 조사대상: 전국 만 18세 이상 1,004명 / 표본오차: 3.1%포인트(95% 신뢰수준) / 응답률: 16.3%(총통화 6,168명 중 1,004명 응답 완료) / 의뢰처: 한국갤럽 자체 조사
전국지표조사(NBS) = 조사지역: 전국 / 조사기간: 2025년 1월 6일 ~ 1월 8일(3일간) / 조사대상(모집단): 만 18세 이상 남녀 / 조사방법: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 / 표본추출: 성·연령·지역별 층화확률추출 / 표본크기: 1,000명(가중값 적용 후 1,000명) / 피조사자 선정방법: 성·연령·지역으로 층화된 가상번호 내 무작위 추출 / 응답률: 22.8% (총 4,394명과 통화하여 그 중 1,000명 응답 완료) / 접촉률: 27.0% / 가중치 산출 및 적용: 성・연령・지역별 가중치 부여(셀가중) / 2024년 12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 기준 /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 3.1% point / 조사기관: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리얼미터 = 조사기간 : 2025년 1월 2일(목)~3일(금) / 조사대상 : 전국 18세 이상 우권자 1,001명 / 조사방법 : 무선(97%)·유선(3%) 자동응답 /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 3.1%p(95% 신뢰수준)
이들 조사의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