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설 명절 연휴 기간에 발표된 방송3사 여론조사에서 '정권교체' 의견이 모두 50%를 기록해 '정권재창출' 의견보다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일부 조사에서는 두 의견에 대한 격차는 오차범위 내로 좁혀진 것도 있었다.
MBC가 1월 29일 보도한 여론조사(1.27~28, 전국 만18세 이상 1,004명) 결과, '정권교체를 위해 야권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의견이 50%로, '정권재창출을 위해 여권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44%)보다 6%p 더 많았다.
그러나, MBC가 올 1월 1일 실시한 직전 여론조사와 비교하면 '정권교체'는 5%p 감소한 반면 '정권재창출'은 12%p 늘어 두 의견 격차가 오차범위(±3.1%p, 95% 신뢰수준) 이내로 좁혀졌다.
KBS 조사(1.24~26일, 전국 만18세 이상 1,000명)에서는 '정권 교체를 위해 야당 후보에 힘을 실어야 한다'는 응답이 50%, '정권 재창출을 위해 여당 후보에게 힘을 실어야 한다'는 응답이 39%로 '정권교체' 여론이 11%p 높았다.
SBS 조사(1.23∼25, 전국 만18세 이상 1,004명)에서도 '야당으로의 정권 교체'(50%)가 '여당의 정권 재창출'(43%)보다 7%p 더 많았다.
정당지지도는 방송3사 모두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오차범위 내 접전 양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KBS 조사에서는 민주당 37%, 국민의힘이 35%, 조국혁신당 8%, 개혁신당 3%, 진보당 1%, 그 외 다른 정당 2% 순이었다. ▲MBC 조사에서는 민주당 44%, 국민의힘 41%, 조국혁신당은 4%, 개혁신당은 2%, 그 외 다른 정당은 1%였고, ▲SBS 조사는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각 39%로 똑같았고 조국혁신당 4%, 개혁신당 2%, 진보당과 기타 정당이 각 1%였다.
특히, 이들 방송사의 직전 비교하면 국민의힘 상승, 민주당 하락 추세를 보였다.
▶KBS의 경우, 2024년 12월 조사(12.29~31)에서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24%였는데, 한달 사이에 민주당은 5%p 하락한 반면 국민의힘은 11%p 상승하며 이번 조사에서는 37%(민주당) : 35%(국민의힘)로 오차범위 내 2%p 차이로 좁혀졌다.
▶MBC 조사 역시 올 초와 비교해 민주당은 48%→44%로 4%p 내린 반면 국민의힘은 29%→41%로 12%p 상승하며 두 정당 지지율 차이가 3%p로 줄었다.
대구경북은 여전히 국민의힘이 50%를 넘는 절대 우세를 보였다. 대구경북 정당지지도는 ▶KBS 조사에서 국민의힘 51%, 민주당 18%였고, ▶SBS에서는 국민의힘 61%, 민주당 16%로 차이가 더 컸다.
차기 대선후보 적합도·선호도 조사에서는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방송3사 모두 35~36%로 앞선 가운데 국민의힘 김문수 고용노동부장관·오세훈 서울시장·한동훈 전 비대위원장·홍준표 대구시장은 각각 5~17%로 뒤를 이었다.
▶KBS의 경우 이재명 35%, 김문수 14%, 한동훈 7%, 오세훈 5%, 홍준표 5%였고, ▶MBC는 이재명 36%, 김문수 17%, 오세훈 7%, 홍준표 6%, 한동훈 5%, ▶SBS는 이재명 35%, 김문수 15%, 홍준표 8%, 한동훈 7%, 오세훈 6%였다.
방송3사 조사에서는 또, 윤석열 탄핵 심판,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재판, 민주당의 '발목잡기'에 대한 여론도 엿볼 수 있었다.
▶SBS의 '윤석열 탄핵심판' 조사에서는 "인용" 의견이 59%, "기각 또는 각하" 39%로 탄핵 찬성 여론이 높았다. ▶KBS의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재판 인식 조사에서는 '선거법에 따라 2심 3개월, 3심 3개월 일정 안에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62%, '법에 정해진 기간과 상관 없이 심리를 충분히 해야 한다'는 의견이 29%였다.
▶MBC의 '제1야당 민주당이 탄핵 국면에서 정부와 여당을 발목잡기 한다'는 의견에 대한 조사에서는 '동의한다'가 51%, '동의하지 않는다'가 46%로 오차범위 내 비슷하게 나타났다.
[조사 개요]
SBS = 의뢰 기관 : SBS / 수행 기관 : 입소스 주식회사(IPSOS) / 조사 지역 : 전국 / 조사 일시 : 2025년 1월 23일~25일 / 조사 대상 : 전국에 거주하는 유권자 (만 18세 이상 남녀) / 조사 방법 : 무선 전화면접조사(무선 100%) / 표본크기 : 1,004명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3.1%p) / 표집방법 : 성, 연령, 지역 할당 후 무선 가상번호 추출 / 피조사자 선정방법 : 성/연령/지역 비례에 따른 할당추출 / 응답률 : 20.8%
가중치 부여 방식 :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값 부여 (셀 가중), (2024년 12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 /출처 : SBS 뉴스
MBC = 조사의뢰 : MBC / 조사기관 : (주)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 / 조사지역 : 전국 / 조사기간 : 2025년 1월 27~28일(2일간) / 조사대상 : 전국 만 18세 이상 / 조사방법 : 통신 3사 휴대전화 가상(안심)번호 전화면접 / 피조사자 선정방법 : 성·연령·지역별 할당 / 응답률 : 18.9% (5,308명 중 1,004명) / 가중치값 산출 및 적용방법 : 지역·성·연령별 가중치 부여(셀가중, 2024년 12월 말 행안부 인구통계 기준) / 표본오차 : 95% 신뢰 수준 ±3.1% 포인트 / 질문내용 :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KBS = 의뢰 기관 : KBS / 수행 기관 : 한국리서치 / 조사 일시 : 2025년 1월24일~1월26일 (3일간) / 조사 대상 :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성·연령·지역 할당 후 무선 가상번호 추출) / 표본수 : 1,000명 / 조사 방법 : 전화면접조사 / 응답률 : 18.4% / 가중치 부여 방식 : 지역별·성별·연령별 가중치 부여 (셀가중/2024년 12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 / 표본 오차 : ±3.1%p (95% 신뢰수준) / 조사결과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해 정수로 표기)
이들 조사의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