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계엄에 맞선 '대구 촛불의 밤'...동성로에 1천여명 "윤석열, 그만 내려와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1차 '윤석열 퇴진 대구시국대회'
비상계엄 사태 이후 첫 집회 '분노'
시민들 촛불대신 휴대폰 플래시 불빛
"체포·탄핵, 다시 민주주의 생각할 때"
경북대·영남대 등 동문 1천여명 '시국선언'
'탄핵안 표결' 오는 6일까지 매일 집회

비상계엄에 맞선 불빛들이 대구 동성로 광장으로 모여들었다. 

이번엔 촛불 대신 휴대폰 플래시를 손에 들고 어둠을 밝혔다. '박근혜 국정농단' 촛불 이후 8년 만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3일 계엄을 선포한 것에 대해 대구시민 1,000여명이 "윤석열 퇴진"을 촉구했다.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와 대구경북여성단체연합,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 등 대구지역 85개 단체가 참여하는 '윤석열 퇴진 대구시국회의'는 4일 오후 중구 동성로 CGV대구한일 앞에서 '윤석열 퇴진 대구시민시국대회'를 열었다.

윤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하고, 스스로 해제한지 만 하루만에 첫 광장의 밤이다.   

대구 중구 동성로에서 열린 '윤석열 퇴진 대구시민시국대회'에서 시민들이 핸드폰 플래시를 켜고 있다.(2024.12.4)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대구 중구 동성로에서 열린 '윤석열 퇴진 대구시민시국대회'에서 시민들이 핸드폰 플래시를 켜고 있다.(2024.12.4)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내란범죄 수괴 윤석열을 체포하라"...대구시민들의 '윤석열 퇴진' 피켓팅(2024.12.4)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내란범죄 수괴 윤석열을 체포하라"...대구시민들의 '윤석열 퇴진' 피켓팅(2024.12.4)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대구지역 시민사회단체, 노동계, 진보정당 인사들이 핸드폰 플래시를 켜며 "윤석열 퇴진"을 요구했다.(2024.12.4)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대구지역 시민사회단체, 노동계, 진보정당 인사들이 핸드폰 플래시를 켜며 "윤석열 퇴진"을 요구했다.(2024.12.4)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현장에 모인 시민 1,000여명(주최 측 추산)은 핸드폰으로 플래시나 촛불을 켜며 "내란범 윤석열을 탄핵하라", "윤석열은 퇴진하라" "윤석열을 체포하라"고 외쳤다. 또 "내란범죄 수괴 윤석열을 체포하라", "윤석열을 지금 당장 탄핵하라" 등의 피켓도 들었다.

임성종 '박정희우상화사업반대 범시민운동본부' 집행위원장은 "어제 윤석열에 의해 이뤄진 비상계엄 선포는 국가 내란 행위이며, 본인의 가족을 지키기 위한 친위 쿠데타"라면서 "지금 당장 체포·구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어제 우리는 45년간 지켜냈던 민주주의가 일순간에 무너진 것을 지켜봤다"며 "윤석열이 깰 뻔한 민주주의를 시민의 힘으로 지켰다"고 덧붙였다.

경북대학교 교수와 재학생들이 결성한 '윤석열 퇴진을 위한 경북대학교 비상시국회의'도 이날 오후 경북대 북문 앞에서 "윤석열 퇴진" 기자회견을 연 뒤 경북대 북문에서 출발해 CGV대구한일까지 도보로 행진하며 집회에 도착했다.

임성종 '박정희우상화사업반대 범시민운동본부' 집행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 체포"를 요구했다.(2024.12.4)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임성종 '박정희우상화사업반대 범시민운동본부' 집행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 체포"를 요구했다.(2024.12.4)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이형철 경북대학교 비상시국회의(물리학과 교수) 대표가 발언하고 있다.(2024.12.4)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이형철 경북대학교 비상시국회의(물리학과 교수) 대표가 발언하고 있다.(2024.12.4)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이형근 영남대 민주동문회장이 '대구경북지역 대학 동문, 졸업생 1,000인 비상시국선언문'을 발표하고 있다.(2024.12.4)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이형근 영남대 민주동문회장이 '대구경북지역 대학 동문, 졸업생 1,000인 비상시국선언문'을 발표하고 있다.(2024.12.4)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이형철 경북대 비상시국회의 대표(물리학과 교수)는 "국회는 탄핵 절차를 추진하고, 헌법재판소는 심리하고, 검찰·경찰은 위법, 위헌 사실이 있으면 체포해 수사하는 등 자기 할 일을 해야 한다"면서 "이 사건을 말미암아 우리는 다시 민주주의를 이야기하고 싶다. 교수로서 학생들과 함께 미래를 만들어가고 싶다"고 밝혔다.

이어 '대구경북지역대학민주동문(우)회협의회'가 '대구경북지역대학 동문, 졸업생 1,000인 비상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협의회는 지난 11월 25일부터 12월 2일까지 서명자를 받았다.

대학별로 보면 ▲경북대 250명 ▲영남대 204명 ▲계명대 200명 ▲대구대 105명 ▲대구한의대 98명 ▲경일대 87명 ▲대구가톨릭대 28명 등 모두 1,014명이다.

이들은 시국선언문에서 "어젯밤 있을 수도 없고 있어서도 안 되는 일이 벌어졌다"며 "참담한 현실을 마주하며 국민들은 불안과 공포에 밤을 지세워야 했고, 3시간 천하 윤석열의 위기 탈출 계엄령은 결국 수포로 돌아갔다"고 밝혔다.

"헌법파괴, 내란범죄자 윤석열은 퇴진하라" 현수막을 들고 대구2.28기념공원 일대를 행진하고 있다.(2024.12.4)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헌법파괴, 내란범죄자 윤석열은 퇴진하라" 현수막을 들고 대구2.28기념공원 일대를 행진하고 있다.(2024.12.4)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윤석열 내려와라" 대구참여연대 인사들이 피켓을 들고 대구 동성로를 행진하고 있다.(2024.12.4)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기자

이어 "이권에 눈이 먼 브로커 집단에 둘러싸여 권력을 사유화하고, 국정농단을 일삼았던 윤석열은 헌법을 유린하고 파괴했다"면서 "무개념, 무책임, 무능력한 독재자 윤석열은 더 이상 국민의 대표가 아니다"라고 규정했다.

때문에 "폭정과 실정을 탄압으로 덮을 수 없고, 분노한 민심은 막을 방법이 없다"며 "윤석열이 철옹성으로 여기는 대구경북 시,도민들의 분노도 임계점을 넘었다"라고 규탄했다.

시국대회 뒤 윤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며 공평네거리, 봉산육거리, 반월당네거리를 거쳐 중앙네거리까지 2.4km를 행진했다.

'윤석열 퇴진 대구시국회의'는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안이 국회 본회의 표결에 부쳐질 예정일인 오는 6일까지 매일 저녁 "윤 대통령 퇴진" 촉구 집회를 열 계획이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